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칠종칠금(七縱七擒)[시절가 14 페이지 / 전적]
제갈량(諸葛亮)이 맹획(猛獲)을 일곱 번 놓아주고 일곱 번 사로잡았다는 옛일. 마음대로 다룸. 쥐락펴락함.
칠종형제(七從兄弟)[수션의라 11 페이지 / 전적]
일곱의 사촌형제.
칠종형제(七從兄弟)[기수가 1 페이지 / 전적]
일곱의 사촌형제.
칠중 나망(七重羅網)[권왕가 6 페이지 / 전적]
칠중망(七重網)을 가리킴. 몇 겹으로 짜서 엮어낸 보배로운 그물. 부처 공덕의 비유. 나망(羅網) : 구슬을 꿰어서 그물처럼 만든 불전(佛前)을 장식하는 기구.
칠중 난순(七重欄楯)[권왕가 6 페이지 / 전적]
일곱 줄의 겹겹으로 된 난간(欄干). 난순(欄楯) : 난간(欄干).
칠척장검(七尺長劍)[초한가라 19 페이지 / 전적]
칠 척이나 되는 긴 칼.
칠천(漆川)[ 1 페이지 / ]
광산현(지금의 광산구) 북쪽 30리에 있다. 담양과 창평의 물이 합쳐져 서쪽으로 흐른 물이 곧 칠천이다. 이 물은 벽진碧津.생압도生鴨渡.선암도仙岩渡. 병화노진幷火老津을 거쳐 극락강으로 들어간다. 일명 칠수라고도 부른다.
칠첩 난간(七疊欄干) 난간(欄干)[자책가(가) 13 페이지 / 전적]
일곱 겹겹의 난간. 층계 · 다리 · 툇마루 따위의 가장자리에 나무나 쇠로 가로 새로 건너 세워놓은 살.
칠첩반상(七-飯床)[김씨효행가 18 페이지 / 두루마리]
밥, 국, 김치, 장류, 조치 이외에 숙채, 생채, 구이, 조림, 전유어, 마른반찬, 회 따위의 반찬을 담은 접시가 일곱인 밥상. 또는 그런 밥상에 쓰는 그릇 한 벌.
칠칠찮은[여자행신가 7 페이지 / 전적]
깨끗하고 단정하지 아니하고 주접이 들다. 성질이나 일 처리가 반듯하고 야무지지 아니함.
칠칠찮은[여자행신가 7 페이지 / 전적]
깨끗하고 단정하지 아니하고 주접이 들다. 성질이나 일 처리가 반듯하고 야무지지 아니함.
칠택[석천집(石川集二-二)2-2 236 페이지 / 전적]
사마상여의 <자허부(子虛賦)>에 나오는 운몽 칠택을 가리킨다.
칠택(七澤)[석천집(石川集二-五)2-5 113 페이지 / 전적]
중국 초(楚)나라에 있는 일곱의 큰 못.
칠팔삭(七八朔)[사친가2(思親歌(二)) 5 페이지 / 전적]
일곱 여덟 달.
칠팔삭(七八朔)[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36 페이지 / 전적]
칠팔개월.
칠팔삭(七八朔)[교훈가 3 페이지 / 전적]
칠팔 개월.
칠팔삭(七八朔)[안심가 5 페이지 / 전적]
칠팔 개월.
칠현(七賢)[헌수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춘추 시대의 일곱 현인. 논어에 일민(逸民)으로 올려진 백이, 숙제, 우중(虞仲), 이일(夷逸), 주장(朱張), 유하혜, 소련(少連)을 이름.
칠현(七賢)[헌수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춘추 시대의 일곱 현인. 논어에 일민(逸民)으로 올려진 백이, 숙제, 우중(虞仲), 이일(夷逸), 주장(朱張), 유하혜, 소련(少連)을 이름.
칠현금(七絃琴)[옥설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일곱 줄로 된 고대 현악기의 하나. 오현금에 두 줄을 더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