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5,089개

칠십제자(七十弟子)[도덕구가 3 페이지 / 전적]

공자(孔子)의 제자 중 가장 뛰어난 제자들.

칠야(漆夜)[권왕가 50 페이지 / 전적]

흑야(黑夜). 아주 캄캄한 밤.

칠야(漆夜)[한탄가 5 페이지 / 전적]

캄캄한 밤.

칠요(七曜)[대동가(동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일(日)ㆍ월(月)과 수성(水星)ㆍ화성(火星)ㆍ목성(木星)ㆍ금성(金星)ㆍ토성(土星)을 말한다.

칠원군(七元君)[구궁환정구구가(九宮還定九九歌) 8 페이지 / 전적]

칠원성군(七元星君)을 일컫는 듯하다.칠원성군은 북두칠성을 이르는 말로 탐랑(貪狼), 거문(巨門), 녹존(祿存), 문곡(文曲), 염정(廉貞), 무곡(武曲), 파군(破軍)의 일곱 개의 별을 뜻한다.이를 섬기면 천재지변 등을 미리 막을 수 있다고 한다.이는 별이 인간의 길흉화복과 수명을 지배한다는 도교의 믿음에서 유래하였으며 칠성은 칠원성군의 준말로 비를 내려 풍년을 이루게 하고, 수명을 연장해주며, 재물을 준다고도 믿어져 왔다.

칠월 칠석일(七月七夕日)[이별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음력 칠월, 칠석이 드는 날.칠석(七夕) : 음력 칠월 초이렛날의 밤. 이 날 밤에 견우성과 직녀성이 오작교에서 만난다고 함.

칠월(七月)[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5 페이지 / 전적]

계집종의 이름.

칠월기망(七月旣望)[남여동락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기망은 보름이 지난 다음날을 말함. 이 때 달이 보름달보다 더 밝다고 함.

칠월기망(七月旣望)[남여동락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기망은 보름이 지난 다음날을 말함. 이 때 달이 보름달보다 더 밝다고 함.

칠월장(七月章)[계녀사라 7 페이지 / 전적]

<시경> <국풍(國風)> ‘빈(豳)’편에 실린 ‘칠월장’을 말함.

칠월지곡(七月之哭)[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八)8 102 페이지 / 전적]

선생의 卵山哭을 말함. 本詩集의 「有所思」參照.

칠월칠석(七月七夕)[이화가젼 24 페이지 / 전적]

칠석(七夕)은 음력으로 칠월 초이렛날의 밤. 이때에 은하의 서쪽에 있는 직 녀와 동쪽에 있는 견우가 오작교에서 일 년에 한 번 만난다는 전설이 있음.

칠월칠석(七月七夕)[이화가젼 24 페이지 / 전적]

칠석(七夕)은 음력으로 칠월 초이렛날의 밤. 이때에 은하의 서쪽에 있는 직 녀와 동쪽에 있는 견우가 오작교에서 일 년에 한 번 만난다는 전설이 있음.

칠월칠석(七月七夕)[고분가 5 페이지 / 전적]

칠석날, 음력으로 칠월 초이렛날의 밤.이때에 은하의 서쪽에 있는 직녀와 동쪽에 있는 견우가 오작교에서 일 년에 한 번 만난다는 전설이 있다.

칠월칠석(七月七夕)[고분가 5 페이지 / 전적]

칠석날, 음력으로 칠월 초이렛날의 밤.이때에 은하의 서쪽에 있는 직녀와 동쪽에 있는 견우가 오작교에서 일 년에 한 번 만난다는 전설이 있다.

칠월편(七月篇)[백운처사경독가라(운처사경독가라) 3 페이지 / 전적]

<시경(詩經)>에 수록된 시로 사시(四時)의 농사짓는 풍경을 읊은 시이다.주공(周公)이 자기의 선대에서 왕업을 일으킬 때에 농사에 힘썼다는 것을 임금에게 알리기 위해 지은 시이다.

칠월편(七月篇)[호남가라 1 페이지 / 전적]

<시경(詩經)>에 수록된 시로 사시(四時)의 농사짓는 풍경을 읊은 시이다.주공(周公)이 자기의 선대에서 왕업을 일으킬 때에 농사에 힘썼다는 것을 임금에게 알리기 위해 지은 시이다.

칠일삼일(七日三日) 재계(齋戒)할 제[명륜가(明倫歌) 32 페이지 / 전적]

21일 동안 부정한 일을 멀리하고 심신을 깨끗이 할 제.

칠정(七情)[대동가(동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사람의 일곱 가지 감정

칠조개(漆雕開)[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49 페이지 / 전적]

「漆雕開」-사람이름인데 孔子의 弟子임. 論語 公治長에「孔使漆雕仕 對曰 吾斯之未能信 子說」이란 대문이 있음. 여기는 선생이 벼슬길에 오래 머문것을 후회하여 쓴것임.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