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칠성님[제삼별회심곡(第三別囬心曲) 1 페이지 / 전적]
‘칠원성군’을 높여 이르는 말. 칠원성군은 칠성, 칠성님, 사부칠성이라고도 불리며 인간의 생로병사(生老病死)를 주관하는 무의 신령으로 북두칠성을 신격화한 것.
칠성님 전[착현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칠원성군(七元星君)의 존칭. 칠원성군은 북두(北斗)의 일곱 성군으로 탐랑성군(貪狼星君), 거문성군(巨文星君), 녹존성군(祿存星君), 문곡성군(文曲星君), 염정성군(廉貞星君), 무곡성군(武曲星君), 파군성군(破軍星君)의 일곱 신. 또한 칠성각이나 칠성전의 주인
칠성단(七星壇)[슈절자탄가 11 페이지 / 전적]
제갈량(諸葛亮)이 적벽대전을 승리로 이끌기 위해 남병산(南屛山) 올라지세(地勢)를 살핀 후에 칠성단(七星壇)을 쌓고 동남풍(東南風)이 불기를 빌었던 곳.
칠성단(七星壇)[슈절자탄가 11 페이지 / 전적]
제갈량(諸葛亮)이 적벽대전을 승리로 이끌기 위해 남병산(南屛山) 올라지세(地勢)를 살핀 후에 칠성단(七星壇)을 쌓고 동남풍(東南風)이 불기를 빌었던 곳.
칠성단(七星壇)[화조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삼국지의 적벽대전(赤壁大戰)에서 공명(孔明)이 동남풍을 바라고 기도한 곳.
칠성당(七星堂)[한탄가 6 페이지 / 전적]
칠원성군을 주신으로 모신 당.
칠성당(七星堂)[가야희인곡 8 페이지 / 두루마리]
칠원성군(七元星君)을 주신으로 모신 건물. 칠원성군(북두칠성)은 북두(北斗)의 일곱 성군임.
칠성등(七星燈)[관등가(觀燈歌) 3 페이지 / 전적]
북쪽 하늘에 벌려 있는 ‘칠원성군(七元星君)’을 염두한 표현구임. 칠원성군(七元星君) : 북두칠성. 북두(北斗)의 일곱 성군.
칠성등(七星燈)[소상팔경가 31 페이지 / 전적]
일곱 개의 등.
칠성신(七星神)[이별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북두칠성을 인격화한 신. 인간의 수명과 재물을 맡아보며, 비를 내리게 한다는 신.
칠성안(七星案)[평지행룡(平地行龍) 2 페이지 / 전적]
북두칠성 모양의 앞산.
칠성안(七星案)[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2 페이지 / 전적]
북두칠성 모양의 앞산.
칠성이 희미해서[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206 페이지 / 전적]
길 잃은 것을 뜻함.《莊子 徐無鬼》에 ‘황제(黃帝)를 모시는 일곱 성인〔七聖〕이 양성(襄城)의 들판에서 길을 잃었다.‘ 하였음.
칠성전(七星)[백발가(白髮歌) 9 페이지 / 전적]
인간의 수명과 재복(財福)이나 강우(降雨)를 관장하는 신
칠성판(七星板)[한양가라 45 페이지 / 전적]
관(棺) 속 바닥에 까는 얇은 널조각.
칠성판(七星板)[비틀노래 2 페이지 / 두루마리]
관(棺)의 바닥에 깔거나 시신 위에 덮는 얇은 널조각으로 북두칠성을 본떠서 일곱 구멍을 뚫은 데서 붙은 이름.
칠성에[상사곡가사(상곡가사) 8 페이지 / 전적]
칠석(七夕)날에. 칠월 칠일의 명절을 말함.
칠세(七歲)에 남녀부동석(男女不同席)으로[남은곡 권지단이라 16 페이지 / 전적]
유교의 옛 가르침에서 일곱 살만 되면 남녀가 한자리에 같이 앉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남녀를 엄격하게 구별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
칠세남녀(七歲男女) 부동석(不同席)[해몽가라(몽가라) 15 페이지 / 전적]
유교의 옛 가르침에서 일곱 살만 되면 남녀가 한자리에 같이 앉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남녀를 엄격하게 구별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
칠신위려(漆身爲厲)[고분가 25 페이지 / 전적]
몸에 옻칠을 하여 문둥이가 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