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5,089개

처결(處決)[연행별곡(연별곡) 9 페이지 / 전적]

결정(決定)하여 조처(措處)함.

처녀(處女)[노처녀가1(老處女歌 (一)) 3 페이지 / 전적]

아직 시집가지 않은 성숙한 여자. 이에 대한 가사 원문의 표기는 ‘차녀’로 되어 있음. (참고 : 가사의 원문 중 속음(俗音)이나 변음(變音)의 표기, 또는 오자(誤字) 등은 가사의 현대역 이해의 편의를 위해 가급적 그 표기의 예를 이처럼 제시해 둔다. 이하 다른 각주에 드는 낱말의 경우도 이와 같다.)

처녀(處女)[황젼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결혼하지 아니한 성년 여자.

처량(凄凉)[황젼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마음이 구슬퍼질 정도로 외롭거나 쓸쓸함.

처량(凄凉)[한양가라 26 페이지 / 전적]

마음이 구슬퍼질 정도로 외롭거나 쓸쓸하다.

처량(凄凉)[북쳔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마음이 구슬플 정도로 쓸쓸함.

처리하라.[백세보중(百世葆重 二-一)2-1 57 페이지 / 전적]

문서의 앞부분과 뒷부분이 결락되어 있어 구체적인 내용은 없다.

처마[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53 페이지 / 전적]

「簷花」― 杜甫의 鄭廣文과 읊은 醉時歌에 「淸夜沈沈動春酌 燈前細雨簷花落」이란 글구가 있는데, 이를 換骨하여 지은 것임.

처마물[쟝한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지붕 처마 끝에 떨어지는 물.

처변(處卞)[몽즁운동가 4 페이지 / 전적]

법(본문에서는 궁을의 조화를 가리킴)에 의거해 잘 처리해 감.

처변(處卞)[몽즁운동가 7 페이지 / 전적]

법(본문에서는 궁을의 조화를 가리킴)에 의거해 잘 처리해 감.

처분(處分)[막소가(莫笑歌) 7 페이지 / 전적]

처리하여 치움.

처불하기(妻不下機)[팔도안희가 14 페이지 / 전적]

아내는 베틀에서 내려오지도 않는 뜻으로 원래는 “처불하기수불위취(妻不下機嫂不爲炊)”에서 나온 말이다. 중국 전국시대의 모사(謀士)였던 소진(蘇秦)은 벼슬에 실패하고 거지꼴로 고향 낙양에 내려오니 어머니는 쳐다보지도 않고, 아내는 베틀에서 내려오지도 않고, 형수는 밥을 지어주지 않았다고 한다. 이 말은 자신만을 위해 출세를 도모하다가 실패하자 결국 가족들에게 버림받는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

처사(處事)[노처녀가1(老處女歌 (一)) 3 페이지 / 전적]

일처리. 일을 처리하는 것.

처사(處事)[화초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일을 처리함.

처사(處事)[화초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일을 처리함.

처사(處士)[복션화음이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벼슬을 하지 아니하고 초야(草野)에 묻혀 사는 선비.

처사시나 외우고자[석촌별곡 11 페이지 / 전적]

작품 세주에 “명나라가 망하려 하자, 처사공 보연이 태백산에 들어가 시를 지어 이르기를, ‘대명천지에 가객은 없고, 태백산중에 머리 기른 중들만 있다’고 하였다. 호가 태백처사인데, 이 사실이 역이 중국의 사기에도 기재되어 있다(大白將亡 處土公諱普衍 入太白山作詩日 大明天地無家客 太白山中有髮儈 號太白處士 事實亦載於中國史記)”고 하였다.

처사완완(處事緩緩)[거사가 4 페이지 / 전적]

일처리가 느릿느릿함.

처생(妻生)[한흥가라 20 페이지 / 전적]

아내의 남자 형제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