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5,089개

책난(責難)[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2 페이지 / 전적]

責難陳善」-어려운 일로 써 임금에게 責하고 善道로써 開進한 다는 말임。孟子 離婁篇에 「責難於君 謂之恭 陳善閉邪 謂之敬」이라 하였음。

책력(冊曆)[조심가라 7 페이지 / 전적]

지구의 기상과 관련된 여러 가지 사실을 기록해 놓은 책.

책력(冊曆)[조심가라 7 페이지 / 전적]

지구의 기상과 관련된 여러 가지 사실을 기록해 놓은 책.

책력(冊曆)[녁대가(녁가) 9 페이지 / 전적]

일 년 동안의 월일, 해와 달의 운행, 월식과 일식, 절기, 특별한 기상 변동 따위를 날의 순서에 따라 적은 책.

책력(冊曆)[녁대가(녁가) 67 페이지 / 전적]

일 년 동안의 월일, 해와 달의 운행, 월식과 일식, 절기, 특별한 기상 변동 따위를 날의 순서에 따라 적은 책.

책망(責望)[사향곡(향곡) 12 페이지 / 전적]

잘못을 꾸짖거나 나무라며 못마땅하게 여김.

책망(責望)[답사향곡(답향곡) 1 페이지 / 전적]

잘못을 꾸짖거나 나무라며 못마땅하게 여김.

책망(責望)[자치가 25 페이지 / 전적]

잘못을 꾸짖거나 나무라며 못마땅하게 여김.

책망(責望)[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10 페이지 / 전적]

허물을 들어 꾸짖음.

책망(責望)[합강정가(合江亭歌) 14 페이지 / 전적]

허물을 들어 꾸짖음.

책명(策名)[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73 페이지 / 전적]

「策名」―仕宦의 길에 올라 신하가 되었다는 말임. 〈左傳僖公二十三年〉「策名委質 貳乃辟也」라 하였고 註에 「이름을 신하 노릇하는 策에 쓰다」라 하였음.

책문(柵門)[연행별곡(연별곡) 11 페이지 / 전적]

조선 후기 청(淸) 나라와의 밀무역을 행하던 지명.구련성(九連城)과 봉황성(鳳凰城) 사이에 위치한 곳.

책문(策問)[송강집(松江集四)4 37 페이지 / 전적]

문체(文體)를 이름. 文體明辨에 「漢文帝十年 始策賢良 其後有司赤以策試士」

책방(冊房)[거창가 14 페이지 / 전적]

고을 원의 비서(秘書) 사무를 맡아보는 사람. 관제에 있는 직책은 아니고 사사로이 임명함.

책방(冊房)[거창가 14 페이지 / 전적]

고을 원의 비서(秘書) 사무를 맡아보는 사람. 관제에 있는 직책은 아니고 사사로이 임명함.

책방(冊房)[북쳔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고을 원에 의하여 사사로이 채용되어 비서일을 맡아보던 사람.

책방(冊房)[북쳔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고을 원의 비서일을 맡아보던 사람.

책방(冊房)[거창가라 19 페이지 / 전적]

고을 원의 비서 일을 맡아보던 사람.관제(官制)에는 없는데 사사로이 임용하였다.

책방(冊房)[아림가(娥林歌) 19 페이지 / 전적]

고을 원의 비서 일을 맡아보던 사람. 관제(官制)에는 없는데 사사로이 임용하였다.

책보(冊褓)[여자행신가 15 페이지 / 전적]

책을 싸는 보자기.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