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5,089개

처생(妻生)[한흥가라 20 페이지 / 전적]

아내의 남자 형제들.

처생(妻生)[한흥가라 20 페이지 / 전적]

아내의 남자 형제들.

처세(處世)[복션화음이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사람들과 어울려 세상에서 살아가는 일.

처소(處所)[북쳔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사람이 임시로 머무르는 장소.

처신(處身)[경영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세상을 살아가는 데 가져야 할 몸가짐이나 행동.

처신(處身)[경영가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세상을 살아가는 데 가져야 할 몸가짐이나 행동.

처신(處身)[여행록이라(여녹이라) 7 페이지 / 전적]

세상을 살아가는 데 가져야 할 몸가짐이나 행동.

처신범절(處身凡節)[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3 페이지 / 전적]

세상을 살아가는 데 가져야 할 몸가짐이나 행동규범.

처엄으로[개화별곡이라 21 페이지 / 전적]

처음으로.

처연(悽然)[오륜가라 21 페이지 / 전적]

애달프고 구슬픔.

처연(悽然)[오륜가라 21 페이지 / 전적]

애달프고 구슬픔.

처연(悽然)[답긔슈가 4 페이지 / 전적]

애달프고 구슬픔.

처음 이견(利見)[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25 페이지 / 전적]

易 乾卦 九五에 「飛龍在天 利見大人」이라 했음.

처음(淸陰)[연행별곡(연별곡) 9 페이지 / 전적]

시원한 그늘이라는 뜻으로, 소나무와 대나무 따위의 그늘을 운치 있게 이르는 말.

처음엔 이오(夷吾)[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69 페이지 / 전적]

「夷吾」- 管仲의 이름임.管子에 「桓公이 成鹽 三萬六千鍾을史를 시켜 出糶하게 하여 成金 萬一千餘斤을 얻었다」하였음.

처인성(處仁城)[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8 페이지 / 전적]

고려 때 처인부곡으로 불렸던 곳으로, 고려 고종 19년(1232) 몽고의 침입 때 고려의 승장 김윤후 장군이 살리타이 장군을 사살한 격전지이기도 하다.

처자 권속(妻子眷屬)[자책가(가) 9 페이지 / 전적]

앞에 든 주 58 참조.

처자 권속(妻子眷屬)[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8 페이지 / 전적]

아내와 자식, 그리 자기 집안에 딸린 식구.

처자(妻子)[고분가 25 페이지 / 전적]

부인과 자식.

처자(妻子)[회과자책가(悔過自責歌) 3 페이지 / 전적]

아내와 자식.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