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학불염(學不厭)[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7 페이지 / 전적]

배움을 싫어하지 아니함.

학불염(學不厭)[경화가(警和歌) 26 페이지 / 전적]

남에게 배울 때는 싫증을 내지 않고.

학불염(學不厭)[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7 페이지 / 전적]

배움을 싫어하지 아니함.

학불염교불권(學不厥敎不倦)[사친곡 9 페이지 / 전적]

배우는데 싫증내지 아니하고 가르친데 게을리 않는다.

학불염교불권(學不厭敎不倦)[론학가권지일 39 페이지 / 전적]

배우기를 싫어하지 말고 가르치기를 게을리 하지 말 것을 의미함.

학불염교불권(學不厭敎不倦)[론학가권지일 39 페이지 / 전적]

배우기를 싫어하지 말고 가르치기를 게을리 하지 말 것을 의미함.

학비소입(學費所入) 불소(不小)하다[명륜가(明倫歌) 18 페이지 / 전적]

학비가 들어가는 것이 적지 않다.

학사[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75 페이지 / 전적]

「尋秦路」―唐 學士 孟浩然이 雪中에 蹇驢를 타고 灞橋를 지나간 故事를 引用한 것임.

학사대(學士臺)[가야희인곡 6 페이지 / 두루마리]

신라 최치원이 만년에 벼슬을 버리고 가야산에 은거할 때 찾아와 지인들과 담론을 즐기고 시를 지으며 즐기던 곳으로 해인사 북서쪽에 있음.

학생부군(學生府君)[자치가 21 페이지 / 전적]

생전에 벼슬 안한 사람에게 붙이는 존칭.

학선(鶴扇)[청춘사연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학날개.

학성[팔역가(八域歌) 21 페이지 / 전적]

학성산

학슬(鶴膝)[몽유가(몽류가) 2 페이지 / 전적]

학의 무릎.

학슬(鶴膝)[몽유가(몽류가) 2 페이지 / 전적]

학의 무릎.

학슬침[몽유가(몽류가) 3 페이지 / 전적]

학슬(鶴膝)은 학의 무릎이라는 뜻임. 그러므로 학슬침(鶴膝枕)은 학의 무릎처럼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베개임.

학슬침[몽유가(몽류가) 3 페이지 / 전적]

학슬(鶴膝)은 학의 무릎이라는 뜻임. 그러므로 학슬침(鶴膝枕)은 학의 무릎처럼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베개임.

학시학례 문답설(學詩學禮 問答說)[황남별곡(黃南別曲) 20 페이지 / 전적]

논어(論語)' 〈계씨(季氏)〉편에 나오는 전거로, 공자(孔子)가 아들 백어(伯魚)를 가르칠 때 자식이라고 해서 특별히 많은 교육을 시키거나 편애(偏愛)하지 않고, 그저 뜰을 지나다 '시를 배웠느냐? 예를 배웠느냐?' 하며 가르침을 주었는데, 이 가르침을 일러 '정훈(庭訓)'이라고 함.

학업성취(學業成就)[경노의심곡 14 페이지 / 두루마리]

공부하여 배움을 닦는 일을 이룸.

학을 타고서 양주에라도[석천집(石川集二-二)2-2 55 페이지 / 전적]

옛날에 어떤 손님들이 모여서 자기의 뜻을 말하는데, 어떤 사람은 양주자사가 되기를 원했고, 어떤 사람은 재산을 많이 모으기 원했으며, 또 어떤 사람은 학을 타고 날아오르기 원했다. 그러자 또 한 사람이 ‘허리에 십만냥을 찬 채로, 학을 타고 양주에 날아오르고 싶다.‘고 했다. 세 사람의 욕망을 다 겸한 것이다. -소동파의 <녹균헌시(綠筠軒詩)> 주(注)

학이라서[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42 페이지 / 전적]

「鶴斷鳧續」―自然을 違反하는 비유임. 莊子 騈拇篇에「長者不爲有餘 短者不爲不足 是故鳧脛雖短 續之則憂 鶴脛雖長 斷之則悲」라 했는데 그 註에「각자가 正이 있으니 此로서 彼를 正하여 損益하려는 것은 不可하다」라 했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