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한 번 읊자 솟은[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92 페이지 / 전적]
「聳肩」-蘇軾의 贈寫眞何秀才詩에 『君不見雪中騎驢孟浩然 皺眉吟詩肩聳山』의 句가 있음.
한 생각에 성광됨[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42 페이지 / 전적]
성광(聖狂)은 성인과 미치광이란 말.《書經 周書 多方》에 ‘오직 성인도 생각 없으면 미치광이 되고 미치광이도 능히 생각하면 성인 된다.‘ 하였다.
한 장군[초한가라 6 페이지 / 전적]
한나라 장수 한신을 이르는 말.
한 정(政)이[면앙집(俛仰集 一)1 56 페이지 / 전적]
苛政猛於虎=家語에 나온 孔子語
한 짐[아림가(娥林歌) 21 페이지 / 전적]
한 짐은 '일부(一負)'. 부(負)는 면적 단위명의 하나.
한 충신(漢忠臣) 소자경(蘇子卿)[사친가2(思親歌(二)) 14 페이지 / 전적]
중국 한나라의 충신 소무(蘇武)를 두고 이름. 소무(蘇武) : 중국 전한(前漢)의 정치가. 자는 자경(子卿). 무제(武帝) 때에 흉노에게 사신으로 갔다가 잡혀 19년간 억류되었음. 흉노에게 항복한 이릉(李陵)에게 항복할 것을 권유 받았으나 절개를 지켰음. 그와 관계된 ‘기러기의 사자(使者)’ 이야기는 유명함.
한(恨)못하고[경노의심곡 8 페이지 / 두루마리]
한탄하지 못하고.
한(恨)스럽다[추월감 1 페이지 / 두루마리]
한이 되는 느낌 있다.
한(恨)한[칠석가 4 페이지 / 전적]
한스러운.
한(恨)한 고(故)로[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6 페이지 / 전적]
한스럽게 생각한 까닭에.
한(恨)한 고(故)로[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6 페이지 / 전적]
한스럽게 생각한 까닭에.
한(汗)[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18 페이지 / 전적]
칸(Khan)이라는 뜻으로 ‘우두머리’를 가리킴.
한(汗)[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24 페이지 / 전적]
칸(Khan)의 음차로 곧 청나라를 가리킴.
한(漢)[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68 페이지 / 전적]
「漢殿履聲」―漢書 鄭崇傳에『崇이 尙書僕射가 되자 자주 謁見을 請하여 諫言을 올리는데 매양 革履를 끌고 들어오므로 上은 웃으며 「나는 鄭尙書의 신 끄는 소리를 안다」』라 하였음. 杜甫의 上韋左丞詩에「聽履上星辰」의 句가 보임.
한(漢)[녁대가(녁가) 42 페이지 / 전적]
진(秦)에 이어지는 중국의 통일왕조(B.C.202∼A.D.220). 장안(長安)을 수도로 하였던 한을 전한(前漢
한(韓)[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11 페이지 / 전적]
「韓奇杜硬」―詩의 특징을 들면 韓愈는 奇하고 杜甫는 硬하다는 뜻인데, 蔡仲吉의 詩가 이와 방불하다는 것임.
한·유(韓․劉)[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30 페이지 / 전적]
「韓劉」- 韓은 韓愈, 劉는 劉禹錫인데, 모두 唐의 文章家임.
한◆지[남여동락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한퇴지(韓退之)로 판단됨.
한◆지[남여동락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한퇴지(韓退之)로 판단됨.
한閒[ 1 페이지 / ]
한閑을 달리 쓴 글자. 한한閑閑의 약칭임. 무성한 모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