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한림학사(翰林學士)[한양가라 11 페이지 / 전적]
고려시대 때 한림원에 속한 정사품 벼슬. 주로 임금의 조서(詔書)쓰는 일을 맡았다.
한마(汗馬)[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65 페이지 / 전적]
줄곧 달려 등에 땀이 밴 말을 이르는 것으로 전투장에서 말을 타고 힘겹게 왔다 갔다 함을 뜻한다.
한마다[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03 페이지 / 전적]
「瓜期」― 受代의 期를 말함. 左傳莊公八年 「齊侯使連稱管至父戌葵丘 瓜時而徃 曰及瓜而代」라 하였음.
한매(寒梅)[석천집(石川集二-五)2-5 166 페이지 / 전적]
겨울에 피는 매화.
한매수(寒梅樹)[화전가2 4 페이지 / 전적]
초봄에 꽃이 피는 찬 매화나무.
한명(限命)[동국조선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하늘이 정한 한정된 목숨.
한명련(韓明璉)[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32 페이지 / 전적]
조선 중기, 후기의 문신이자 임진왜란 때의 장군이다. 임진왜란이 터지자 자발적으로 의병을 일으켜 왜군과 맞서 싸웠으며, 인조 반정 때 억울하게 체포되었다가 부원수 이괄의 구출을 받고 난에 가담했으나 암살당했다. 당색으로는 서인이었다.
한명제(漢明帝)[녁대가(녁가) 47 페이지 / 전적]
중국 후한(後漢)의 황제 유장(劉莊, 28~75). 재위 기간 중에 불교가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며, 흉노족을 평정하여 북방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재확립하였음.
한명회(韓明澮)[한흥가라 56 페이지 / 전적]
장순왕후(章順王后)의 부친.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으로 추증됨.
한명회(韓明澮)[한흥가라 56 페이지 / 전적]
장순왕후(章順王后)의 부친.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으로 추증됨.
한명회(韓明澮)[한흥가라 56 페이지 / 전적]
장순왕후(章順王后)의 부친.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으로 추증됨.
한명회(韓明澮)[한양가라 55 페이지 / 전적]
장순왕후한씨의 친정아버지. 수양대군을 도와 단종을 몰아내고 즉위케 하는데 일등공신이 되어 영의정(領議政) 벼슬에까지 올랐음.
한명회(韓明澮)[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86 페이지 / 전적]
조선 세조 때의 문신(1415~1487)으로 자는 자준(子濬), 호는 압구정(狎鷗亭)·사우당(四友堂)이다. 수양대군을 도와 김종서를 비롯한 여러 대신을 차례로 죽이고 단종을 몰아내는 데 공을 세워 좌익 공신 1등이 되었으며, 뒤에 사육신의 단종 복위 운동을 좌절시키고 그들을 주살하도록 하였다.
한목[칠여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한꺼번에 몰아서 함을 나타내는 말. ‘한꺼번에’란 뜻의 경상도 사투리.
한몸으로[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43 페이지 / 전적]
「魯鄒」―魯는 孔子, 鄒는 孟子를 말한 것임.
한무사[은삭가 9 페이지 / 전적]
한가하여 일이 없음.
한무사[은삭가 9 페이지 / 전적]
한가하여 일이 없음.
한무제[팔역가(八域歌) 13 페이지 / 전적]
중국 전한의 제7대왕
한무제(漢武帝)[궁장가(宮墻歌) 6 페이지 / 전적]
전한의 7대 황제로 이름은 유철(劉徹)이고 시호는 세종(世宗)이다. 황제에 즉위한 후 권신들을 면직시키고 어질고 겸손한 선비를 등용하여 관리의 자질를 향상시켰다. 오경박사(五經博士)를 두어 유학에 중점을 두고, 기원전 127년부터 왕국을 분봉(分封)하여 중앙집권화 했다. 후에 전국을 13주(州)로 나누고, 주마다 자사(刺史)를 두어 군수를 감독했고, 운하를 굴착하여 농지의 관개와 운송을 도왔다.
한무제(漢武帝)[효행가(효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한나라 황제 유철(劉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