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한로(寒露) 상강(霜降)[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2 페이지 / 전적]

일년 24절후의 하나. 양력으로 10월 8일경임. 찬 이슬이 내리는 무렵으로 음력 9월의 절기임. 일년 24절후의 하나. 양력으로 10월 23일경임. 서리가 내리기 시작할 무렵임.

한로상풍(寒露霜風)[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9 페이지 / 전적]

차가운 이슬과 서리바람.

한로상풍(寒露霜風)[감별곡 3 페이지 / 두루마리]

한로 때 부는 서리바람. 한로(寒露)는 24절기 중의 하나.

한류구소(韓柳歐蘇)[견월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문장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임. 韓愈, 柳宗元, 歐陽脩, 蘇軾.

한류구소(韓柳歐蘇)[견월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문장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임. 韓愈, 柳宗元, 歐陽脩, 蘇軾.

한림(翰林)[권학가 5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 예문관 검열(藝文館檢閱)의 별칭. 정 9품의 관직.

한림(翰林)[해동졍상국회방연(동졍상국회방연) 10 페이지 / 전적]

예문관 검열을 예스럽게 하는 말.

한림(翰林)[옥셜화답 12 페이지 / 전적]

한림은 예문관검열(藝文館檢閱)을 말하는데, 조선 시대에 예문관에서 사초(史草) 꾸미는 일을 맡아보던 정구품 벼슬임.

한림(翰林)[초한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유씨의 남편 이춘매으로, 유씨의 정절에 감동을 받은 염라대왕의 덕을 입고 회생하여 승상이 됨.

한림(翰林)[초한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유씨의 남편 이춘매으로, 유씨의 정절에 감동을 받은 염라대왕의 덕을 입고 회생하여 승상이 됨.

한림(翰林)[김씨효행가 23 페이지 / 두루마리]

고려 시대에, 학사원ㆍ한림원에 속한 정사품 벼슬. 임금의 조서를 짓는 일을 맡아보았음. '예문관 검열'을 예스럽게 이르는 말.

한림(翰林)[초씨션원쳥음가 3 페이지 / 전적]

중국 당나라 때에, 한림원에 속하여 조칙의 기초를 맡아보던 벼슬.

한림원(翰林園)[원유가 8 페이지 / 전적]

주로 학문이나 문필에 관한 일을 맡아 보던 관청.

한림원(翰林院)[쳥츈상심곡(쳥츈심곡) 6 페이지 / 두루마리]

고려시대, 임금의 명령을 문서로 꾸미는 일을 맡아보던 관청.

한림청(翰林廳)[화조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고려 시대 임금의 명을 받들어 각종 문서를 작성하는 일을 관장하던 관서인 한림원(翰林院)의 청사(廳舍).

한림학사[석천집(石川集二-三)2-3 9 페이지 / 전적]

한림원(翰林院)의 별칭(別稱). 한림원에서는 문한(文翰)을 맡는다.

한림학사(翰林學士)[팔도안희가 19 페이지 / 전적]

고려시대에 학사원(學士院), 한림원(翰林院)에 속한 정사품 벼슬을 말하며, 주로 임금의 조서를 짓는 일을 맡았다.

한림학사(翰林學士)[한흥가라 12 페이지 / 전적]

고려 시대에, 학사원ㆍ한림원에 속한 정사품 벼슬. 임금의 조서를 짓는 일을 맡아보았다

한림학사(翰林學士)[한흥가라 12 페이지 / 전적]

고려 시대에, 학사원ㆍ한림원에 속한 정사품 벼슬. 임금의 조서를 짓는 일을 맡아보았다

한림학사(翰林學士)[한흥가라 12 페이지 / 전적]

고려 시대에, 학사원ㆍ한림원에 속한 정사품 벼슬. 임금의 조서를 짓는 일을 맡아보았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