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오[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36 페이지 / 전적]

사오삭(四五朔). 네댓달. 네달이나 다섯 달 정도.

오[탄식가라 1 페이지 / 전적]

사오삭(四五朔). 네댓달. 네달이나 다섯 달 정도.

졔를 지은후의[역대가라(역가라) 4 페이지 / 전적]

사제(蜡祭)를 만든 후에. 사제(蜡祭)는 연말에 여러 군신(群神)들을 모시고 지내는 합사(合祀). 잡귀를 몰아내고 복을 불러오는 의미가 있음.

집지연[앤여가(여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사십지년(四十之年). 나이 40살이 되어서.

친[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18 페이지 / 전적]

사친애(思親愛). 어버이를 사랑하는 마음.

판[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6 페이지 / 전적]

사판내행(仕版內行). 사판(仕版)은 벼슬아치의 명부. 내행은 아녀자의 행차. 벼슬하는 남편이 있는 아녀자의 행차.

이[소동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사사(事事)이. 일마다.

외[앤여가(여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세상(世上)에.

들고 연니로다[형제붕우소회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살뜰하고 인연이 깊다.

를리 히여본이[형제붕우소회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살짝이 쳐다보니.

아아보아[소동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살펴보아.

의줄고[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4 페이지 / 전적]

화살에 죽고. ‘줄고’는 ‘죽고’의 잘못된 표기.

의줄고[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4 페이지 / 전적]

화살에 죽고. ‘줄고’는 ‘죽고’의 잘못된 표기.

의줄고[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2 페이지 / 전적]

화살에 죽고. ‘줄고’는 ‘죽고’의 잘못된 표기.

대병목[용문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삼대병부(三代兵部). 삼대에 걸쳐서 병부상서(兵部尙書)를 지낸 집안이라는 말.

동[용문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삼동(三冬). 겨울 석달을 말함.

모야[용문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삼오야(三五夜). 음력 보름날 밤.

쳔고[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35 페이지 / 전적]

삼천고(三遷故)를. 삼천지교(三遷之敎)의 고사(故事)를.

발낙[용문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삼산반락(三山半落). 높은 삼산(三山)이 갑자기 낮게 보임. 이백(李白)의 시 <등금릉봉황대(登金陵鳳凰臺)>에 ‘삼산반락청천외 일수중분백로주(三山半落靑天外 一水中分白鷺洲)’라는 싯구가 있다.

가약[용문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삼생가약(三生佳約). 전생․현생․후생의 삼생을 두고 끊어지지 않은 좋은 인연.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