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별[용문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자별(自別)한. 저절로 서로 다른.

사수괴[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36 페이지 / 전적]

재사수괴(才士首魁). 재주 있는 인재. 수괴(首魁)는 우두머리를 뜻함.

사수괴[탄식가라 1 페이지 / 전적]

재사수괴(才士首魁). 재주 있는 인재. 수괴(首魁)는 우두머리를 뜻함.

사음식 차일젹의[복션화음록 16 페이지 / 전적]

제사음식 차릴 적에. 제사음식 차릴 때에.

석일[상사곡가사(상곡가사) 11 페이지 / 전적]

제석(除夕)일에. 그믐날.

소[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11 페이지 / 전적]

여러 흥겨운 소리. 소리는 악기소리나 흥겨운 소리.

액니 로나서[효봉구고치산가 15 페이지 / 전적]

재액(災厄)이 자주 나서. 재앙이 자주 생겨서.

월이라[상사곡가사(상곡가사) 10 페이지 / 전적]

제월(除月)이라. 섣달이라. 제월(除月)은 1년의 마지막 달.

을지도[소동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죄를 지어도’, 또는 ‘잘못을 하여도’의 뜻인 듯하다.

이리라[앤여가(여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제일(第一)이라.

특품질[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27 페이지 / 전적]

뛰어난 재주와 인품.

삼[상사곡이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재행삼행(再行三行). ‘재행’은 혼인한 뒤 새서방이 처음으로 처가에 가는 것이고, ‘삼행’은 신랑이 재행한 뒤에 다시 처가에 가는 것을 말한다.

기부[역대가라(역가라) 3 페이지 / 전적]

쟁기와 따비. 따비는 밭을 가는 농기구로 쟁기보다 작고 보습이 좁게 생겼음.

비[용문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장비(張飛). 중국 삼국시대 촉(蜀)나라의 용맹스런 장수.

슈[ 1 페이지 / ]

취수翠袖. 푸른 옷소매.

타말고[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34 페이지 / 전적]

싫다말고.

강을[용문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이 강산을.

급니[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24 페이지 / 전적]

착급(著急)하니. 조급하니.

담상의 허다음식[효봉구고치산가 18 페이지 / 전적]

차담상(茶啖床)의 많은 음식.

외거읍는[용문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제외할 것 없는’ 정도의 뜻으로 이해된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