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하리 싀어디여[ 1 페이지 / ]
차라리 죽어가서.
괴중의[앤여가(여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참괴(慙愧)중의. 부끄러운 중에.
겨마난[용문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찾건마는.
셩이[용문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충성(忠誠)이라.
말근바람[형제붕우소회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창해(滄海)에 맑은 바람.
렴면 닷고난이[형제붕우소회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체념하여 닫고나니.
석강[역대가라(역가라) 10 페이지 / 전적]
채석강(采石江). 안휘성(安徽省) 당도현(當塗縣)의 우저산(牛渚山)기슭을 흐르는 강. 송(宋)나라 우윤문(虞允文)이 금(金)나라 군대를 격파한 곳.
석강[위옥자회가라(위옥과회가라) 1 페이지 / 전적]
채석강(采石江). 안휘성(安徽省) 당도현(當塗縣)의 우저산(牛渚山)기슭을 흐르는 강. 송(宋)나라 우윤문(虞允文)이 금(金)나라 군대를 격파한 곳.
양[용문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채약(採藥)하는. 약을 캐는.
우리라[소동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쉬우리라’의 잘못된 표기로 생각된다.
운정[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29 페이지 / 전적]
채운정(彩雲亭). 아름다운 정자.
조하[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23 페이지 / 전적]
창창조하(蒼蒼朝霞) 아름답도 아득한 아침노을. 여기서 ‘창창(蒼蒼)’은 푸르다는 뜻이 아니고 넓고 아득하다는 뜻으로 쓰였다.
만긔[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13 페이지 / 전적]
태만(怠慢)하기.
산[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16 페이지 / 전적]
태산폐택(泰山沛澤). 태산과 같은 큰 은덕.
즁붓텀[상사곡이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태중(胎中)부터. 아이가 태중에 있을 때부터.
갓치 모현말을[형제붕우소회가라 10 페이지 / 두루마리]
태산같이 모힌말을. 태산같이 모아둔 말을.
밧고 비겨시니[ 1 페이지 / ]
턱 받치고 비기어 기대어 있으니.
일[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22 페이지 / 전적]
택일(擇日)하네.
쳥산[상사곡가사(상곡가사) 11 페이지 / 전적]
팔자청산(八字靑山). 팔자(八字) 모양의 청산(靑山). 두 눈썹 모양을 말함.
공고[상사곡가사(상곡가사) 3 페이지 / 전적]
폐공(蔽空)하고. 하늘을 가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