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전의 어이볼가[위옥자회가라(위옥과회가라) 4 페이지 / 전적]

생전에 어이 볼까. 살아생전에 어찌 볼 수 있었는가.

젼복도[상사곡이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생전복도. 전복은 조개 이름. 살아 있는 전복.

휵(生畜)하신[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3 페이지 / 전적]

생휵하신. 낳고기른.

[앤여가(여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생산(生産). 출산(出産). 애를 낳음.

하나[앤여가(여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성장(成長)했으나.

하야[앤여가(여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생장(生長)하여. 자라나서.

이[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21 페이지 / 전적]

갑자기.

놀 이려나면[형제붕우소회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깜짝놀라 일어나며.

디고[ 1 페이지 / ]

봄에 피었던 꽃은 떨어지고.

치온닷[상사곡이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꽃이 온 듯. 꽃인 듯.

겨나[셕별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꿈결에나.

의나 반기나이[효봉구고치산가 13 페이지 / 전적]

꿈에나 마귀지만. ‘반기나이’는 ‘마귀나이’의 잘못표기인 것 같음. 규방가사 복선화음록(福善禍淫錄)에는 ‘꿈의난 마긔나이’로 표이되어 있다.

치마아[소동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끄치지 마라. 전후의 문맥으로 부귀를 흠모하여 충분하게 하려고 하지 말고, 끼니나 그치지 않을 정도에 만족하라는 의미이다.

다련이 닐츈몽[형제붕우소회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깨달으니 일장춘몽(一場春夢).

발짓[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32 페이지 / 전적]

거짓발짓. ‘’는 ‘꾀’로 거짓의 뜻.

니엇지 마글소냐[효봉구고치산가 15 페이지 / 전적]

땅이 어찌 막을소냐.

희셔 소슨 다시[역대가라(역가라) 11 페이지 / 전적]

땅에서 솟은 듯이.

희셔 소슨 다시[위옥자회가라(위옥과회가라) 2 페이지 / 전적]

땅에서 솟은 듯이.

식구로 아단말가[위옥자회가라(위옥과회가라) 3 페이지 / 전적]

다른 집 식구로 안단 말인가.

날시 굿부기단[형제붕우소회가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떠날 때에 기쁘기보다는.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