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조도[앤여가(여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자주 해도.

즉즉[소동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문맥상으로 보아서 ‘즉시즉시’의 뜻으로 이해된다.

진고[용문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잦은 곳에.

현[ 1 페이지 / ]

子絃. 당비파唐琵琶의 제4현의 이름임.

로[상사곡이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자네로. 그대가. 그대로 하여금.

[역대가라(역가라) 7 페이지 / 전적]

자사(子思)와 맹자(孟子). 자사는 공자의 손자로 이름은 급(伋)리고 자사는 그의 자(字)이다. 증자에게 학문을 배우고 맹자에게 전해주었다. 맹자는 춘추 때 추(鄒)나라 사람이다. 이름은 가(軻), 자는 자여(子輿)이다. 자사의 문인이다.

시는 상[형제붕우소회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자애심(慈愛心)은 세상에

[용문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자애(慈愛)하사. 인자(仁慈)하사.

히 흘르난[형제붕우소회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잔잔히 흐르는데. 잔잔히 퍼지는데. ‘흐르다’는 봄빛이 흐라다의 경우처럼 ‘퍼지다’의 뜻.

구진[용문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자주 상이 굳은. 자주 인상이 굳은. ‘’은 ‘자주’, ‘’은 ‘인상’으로 이해된다.

구히[셕별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장구(長久)히. 오래도록.

귀고[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28 페이지 / 전적]

장귀(壯貴)하고. 장하고 귀하고.

의[용문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장대(將臺)에. ‘장대’는 장군이 올라서 군사를 지휘하도록 돌로 쌓아 만든 높은 축대.

계 랴고[역대가라(역가라) 7 페이지 / 전적]

장생계(長生計) 하려고. 오래 살려는 계획을 하여.

을[용문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장자(長子)를. 큰 아들을.

하일[용문가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장장하일(長長夏日). 긴긴 여름날.

담일슈[용문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재담(才談) 일쑤. 재담을 잘한다는 말.

령(再寧)나[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4 페이지 / 전적]

문맥으로 보아, 귀녕(歸寧)이라는 말에서 나온 것 같다. 시집 간 뒤에 친정에 돌아와 다시 기회를 얻어 부모의 안부를 살핀다는 의미로 쓰인 것 같다. 귀녕(歸寧)이라는 말은 근친(覲親)이라는 말로 시집간 여자가 친정에 가서 어버이를 뵙는 것을 말한다. 친정 나들이가 어려웠던 시대의 말이다.

밋[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14 페이지 / 전적]

재미 있는.

변니[용문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재변(再變)이다. 다시 일어난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