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12,480개

예전 현인들에 비한다면 참으로 위나라 무공 같으니[석천집(石川集二-二)2-2 241 페이지 / 전적]

춘추시대 위나라 임금인데, 백성들을 평안하게 다스렸다. 견융(犬戎)이 주나라 유왕(幽王)을 죽이자, 무공이 군사를 이끌고 주나라를 도와서 융을 평정하는데 커다란 공을 세웠다. 주나라 평왕(平王)이 그를 명하여 공(公)으로 삼자, 억시(抑詩)를 지어 스스로 경계하였다.

예절(禮節) 육례(六禮)[남매상별가라(남매별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유교 사회에서 행하는 여섯 가지 큰 의식. 관례(冠禮), 혼례(婚禮), 상례(喪禮), 제례(祭禮), 향례(鄕禮), 상견례(相見禮)을 이른다.

예조(禮曹)[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6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육조 가운데 예악, 제사, 연향, 조빙, 학교, 과거 따위에 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 태조 원년(1392)에 두었고 고종 31년(1894)에 폐하였다.

예종(睿宗)[한양가라 54 페이지 / 전적]

조선의 제8대 왕(1450~1469)으로 직전수조법(職田收租法)을 제정하여 둔전의 민경(民耕)을 허락하였고,

예종(睿宗)[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3 페이지 / 전적]

고려의 제16대 왕(1079~1122)으로 이름은 우(俁), 자는 세민(世民)이다. 윤관에게 여진을 치게 하여 9성을 쌓았으며 학교를 세우고 국학(國學)에 양현고를 설치하는 등 학문을 진흥시켰다. 재위 기간은 1105~1122년이다.

예종(睿宗)[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0 페이지 / 전적]

조선의 제8대 왕(1450~1469)으로 휘는 황(晄), 자는 명조(明照)이다. 직전 수조법(職田收租法)을 제정하여 둔전의 민경(民耕)을 허락하였고

예주(蕋珠)[송강집(松江集一)1 4 페이지 / 전적]

향초와 진주임.

예주(醴酒)[거상제향가(居喪祭享歌) 4 페이지 / 전적]

맛이 좋은 술. 또는 단술.

예찬(禮讚)[복션화음이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매우 좋게 여겨 찬양하고 기림.

예천(醴泉)[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94 페이지 / 전적]

「醴泉」―甘美로운 泉水를 말함.論衡是應에 「泉從地中出 其味甘若醴 故曰醴泉」이라 했음.

예쳔읍[상사곡이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예천읍내. 예천읍은 지명임.

예틀[한양가라 48 페이지 / 전적]

미상.

예필(禮畢)[칠여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인사를 끝마침.

예필(禮畢)[춘몽가(츈몽가) 7 페이지 / 전적]

예를 마친 후에.

예필(禮畢)[춘몽가(츈몽가) 7 페이지 / 전적]

예를 마친 후에.

예필(禮畢)[축원하온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인사를 끝마침.

예필(禮畢)[형졔분슈가 6 페이지 / 전적]

인사를 끝마침.

예필종부[용문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여필종부(女必從夫).

예필종부(女必從夫)[쳑사대희승부가(쳑사희승부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아내는 반드시 남편에게 순종하여 좇아야 함.

예필원[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5 페이지 / 전적]

예필한원(禮畢翰苑). 예를 마친 한림원. 여기서는 상견례를 마친 지방 유지를 말하는 것 같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