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예악(禮樂)[호남가라 2 페이지 / 전적]
예법과 음악을 함께 이르는 말.
예악(禮樂)[수션의라 11 페이지 / 전적]
예법과 음악.
예악(禮樂)[기수가 1 페이지 / 전적]
예법과 음악.
예악(禮樂) 문물(文物)[자경별곡(自警別曲) 4 페이지 / 전적]
예법과 음악. 문화의 산물.
예악문물(禮樂文物)[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19 페이지 / 전적]
예법과 음악 그리고 문화의 산물.
예악법률(禮樂法律)[근농가(勤農歌) 5 페이지 / 전적]
예법과 음악 그리고 법률.
예악법률(禮樂法律)[경세가(警世歌) 1 페이지 / 전적]
예법과 음악 그리고 법률.
예안(禮安)[환행가 32 페이지 / 두루마리]
예안현은 지금의 경상북도 안동시 예안면 북부, 녹전면, 도산면을 포함하는 지역이었고, 읍치는 도산면 서부리 일대에 있었음. 예안현은 성리학의 대가로 알려진 이황 (1501-1570)의 고향으로 유명한데 이황은 이 고을 토계리에 도산 서당을 세우고 후학들을 교육했음.
예안(禮安)[환행가 32 페이지 / 두루마리]
예안현은 지금의 경상북도 안동시 예안면 북부, 녹전면, 도산면을 포함하는 지역이었고, 읍치는 도산면 서부리 일대에 있었음. 예안현은 성리학의 대가로 알려진 이황 (1501-1570)의 고향으로 유명한데 이황은 이 고을 토계리에 도산 서당을 세우고 후학들을 교육했음.
예안(禮安)[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17 페이지 / 전적]
경상북도 안동군에 있는 지명.
예안현감(禮安縣監)[팔도안희가 20 페이지 / 전적]
현감(縣監)은 지방행정관서인 현(縣)에 둔 우두머리로 수령(守令)이라고 부르는 지방관이다. 조선시대의 현감은 현령(종오품)이 관할하는 현보다 작은 고을의 원님이었다. 당시 지방의 말단기관장인 역(驛)의 찰방(察訪:종육품)과 동격으로 지방수령으로서는 가장 낮은 관직이다.
예양(豫讓) 지심(知心)[ 1 페이지 / ]
중국 진(晉)나라의 의사(義士). 뜻이 서로 통하여 아는 것..
예양(豫讓) 지심(知心)[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93 페이지 / 전적]
중국 진(晉)나라의 의사(義士). 뜻이 서로 통하여 아는 것..
예양(豫讓)[고분가 25 페이지 / 전적]
중국 진(晉)나라의 의사로 자신이 섬기던 지백(智伯)이 조양자(趙襄子)에게 피살되자 복수를 시도하다가 실패하여 자살하였다.
예양(豫讓)[고분가 25 페이지 / 전적]
중국 진(晉)나라의 의사로 자신이 섬기던 지백(智伯)이 조양자(趙襄子)에게 피살되자 복수를 시도하다가 실패하여 자살하였다.
예양(豫讓), 지기지우(知己之友)[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26 페이지 / 전적]
중국 진(晉)나라의 의사(義士), 지기우(知己友). 자기의 속마음과 가치를 잘 알아주는 참다운 벗.
예양(禮讓)[석천집(石川集二-五)2-5 156 페이지 / 전적]
예의를 지켜 겸손하게 하는 일. 예의를 지켜 사양함.
예양교(禮讓橋)[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54 페이지 / 전적]
「豫讓」―戰國時代 晋人으로 일찌기 范中行氏를 섬겼으나 알아주는 바 없었다. 그래서 버리고 떠나 智伯을 섬기니 智伯은甚히 尊待하고 寵幸하였다. 趙襄子가 韓․魏와 더불어 智伯을滅하니 豫讓은 몸에 漆을하여 厲가 되고 炭을 삼켜 벙어리가 되어 襄子를 刺殺해서 智伯을 위해 원수를 갚기로 꾀하여, 하는 말이 「范中行氏는 나를 衆人으로 대우했으므로 내 역서 衆人으로 보답했거니와 智伯은 나를 國士로 대우했으니 나 또한 國士로 보답한다」했다. 두 차례나 襄子에게 잡혔는
예왔도다[한양가라 7 페이지 / 전적]
여기왔도다.
예운악운 (禮云樂云)[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54 페이지 / 전적]
「禮云樂云」- 論語 陽貨篇에 「禮云禮云 玉帛云乎哉 樂云樂云鍾鼓云乎哉」라 하였는데 그 註에 「공경하여 玉帛으로써 받들면禮가 되고 和하여 鍾鼓로써 發하면 樂이 된다.그러나 그 本을 버리고 그 末만 專혀 일삼으면 어찌 禮樂이라 이르겠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