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예도(禮道)[사친가(事親歌) 37 페이지 / 전적]
예절과 법도.
예도(禮道)[자직가(子職歌) 2 페이지 / 전적]
예절과 법도.
예도(禮度)[창덕가2 41 페이지 / 전적]
예의와 법도.
예도(禮度)[창덕가2 42 페이지 / 전적]
예의와 법도.
예든가[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3 페이지 / 전적]
‘예’는 여기의 준말. ‘여기든가’ 곧, 지금 현재인가를 반문하는 말.
예릉(睿陵)[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52 페이지 / 전적]
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조선 철종과 철인왕후(哲仁王后)의 능.
예림서원[팔역가(八域歌) 31 페이지 / 전적]
1567년에 건립하여 김종직 등 배향
예맥(濊貊)[석천집(石川集二-三)2-3 72 페이지 / 전적]
옛날 한족(韓族)을 총칭하던 말로 우리 민족을 가리킨다. 여기서는 강원도를 뜻함.
예맥(濊貊)[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3 페이지 / 전적]
한족(韓族)을 형성한 예족과 맥족을 통틀어 이르는 말. 고조선의 관할 경계 내에 있던 나라. 또는 그 민족. 만주에서 한반도 동북부를 근거지로 하여 수렵과 목축을 주로 하고 농경도 행하였는데, 그로부터 부여와 고구려가 갈려 나옴.
예맥(濊貊)[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7 페이지 / 전적]
한족(韓族)을 형성한 예족과 맥족을 통틀어 이르는 말. 고조선의 관할 경계 내에 있던 나라. 또는 그 민족. 만주에서 한반도 동북부를 근거지로 하여 수렵과 목축을 주로 하고 농경도 행하였는데, 그로부터 부여와 고구려가 갈려 나왔다고 함.
예문(禮文)[명륜가(明倫歌) 36 페이지 / 전적]
제사를 지내는 의식.
예문(禮文)[명륜가(明倫歌) 95 페이지 / 전적]
예법에 관하여 써 놓은 글.
예문(禮文)[사모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부처나 보살에게 예배하는 의식에 대해 적은 글.
예문(禮文)[쌍옥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예법에 관하여 써 놓은 글. 한 나라의 예법과 문물제도.
예문(禮文)[자치가라 22 페이지 / 두루마리]
예법에 관하여 써 놓은 글.
예문(禮文)[소상팔경가 22 페이지 / 전적]
예법에 관하여 써 놓은 글.
예문(禮文)[자치가 23 페이지 / 전적]
예법에 관하여 써 놓은 글.
예문(禮文)[낙향이별가 3 페이지 / 전적]
예법에 관하여 써놓은 글, 한 나라의 예법과 문물제도.
예문관(藝文館)[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7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사명을 짓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 태조 원년(1392)에 둔 예문춘추관을 태종 원년(1401)에 예문관과 춘추관으로 분리하였는데 고종 31년에 경연청에 합하였다.
예박이[북쳔가 37 페이지 / 두루마리]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