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예하(隸下)[삼한가라(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지휘관이나 우두머리의 지휘 아래. 또는 그 아래 딸린 사람.
예행(禮行)[신절가(臣節歌) 5 페이지 / 전적]
의식 절차를 갖춘 행차.
예행(禮行)[신도가(臣道歌) 1 페이지 / 전적]
의식 절차를 갖춘 행차.
예염치(禮義廉恥)[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1 페이지 / 두루마리]
예절과 의리와 청렴 및 부끄러워하는 태도.
예염치(禮義廉恥)[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1 페이지 / 두루마리]
예절과 의리와 청렴 및 부끄러워하는 태도.
옛 궁궐(宮闕) 터전에는 기장이 우거졌다[송강집(松江集三)3 22 페이지 / 전적]
망하였음을 이름
옛 우물에는 이미 물결[석천집(石川集二-一)2-1 10 페이지 / 전적]
마음이 安靜된 懶殘을 말한 것
옛날 위수 가에 살던 늙은이는[석천집(石川集二-二)2-2 230 페이지 / 전적]
곧은 낚시로 40년 동안 세월을 낚았던 강태공 여상(呂尙)을 가리킨다. 그는 결국 문왕을 만나 그의 스승이 되었으며, 무왕을 도와 은나라 주(紂)를 치게 하였다.
옛제[소상팔경가 28 페이지 / 전적]
옛날에.
옛청일다[셕별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예전의 청(靑)이다.
오가(吾家)[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1 페이지 / 전적]
우리 집안.
오가노라니[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06 페이지 / 전적]
「朅來」- 去來와 같은 말임. 司馬相如賦에 「回車朅來兮」라 하였음.「朅來」- 去來와 같은 말임. 司馬相如賦에 「回車朅來兮」라 하였음.
오가옥수(吾家玉樹)[해주졍씨목친가(주졍씨목친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우리 집안의 뛰어난 인재.
오각(吾覺)[길자가(吉字歌) 4 페이지 / 전적]
나의 깨달음.
오각(吾覺)[정도선림하정씨가(正道仙林下鄭氏歌) 2 페이지 / 전적]
나의 깨달음.
오간(五姦)[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8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을사사화를 일으킨 다섯 사람. 이이의 ≪동호문답(東湖問答)≫에 나오는 말로, 정순붕ㆍ윤원형ㆍ이기ㆍ임백령ㆍ허자를 이른다.
오강(烏江)[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6 페이지 / 전적]
중국 양자강(揚子江)의 지류로, ‘우장강’의 오기(誤記). 항우가 한(漢)나라 고조에게 패하여 스스로 목숨을 끊은 곳으로 유명함.
오강(烏江)[감별곡 3 페이지 / 두루마리]
항우(項羽)가 해하(垓下)에서 유방(劉邦)에게 패하여 자결했던 곳.
오강(烏江)[춘몽가(츈몽가) 26 페이지 / 전적]
항우'를 달리 이르는 말.진나라를 멸망하게 하고 스스로 서초(西楚)의 패왕이 되었다는 데서 유래.
오강(烏江)[창덕가2 84 페이지 / 전적]
중국 구이저우성[貴州省] ·쓰촨성[四川省]을 흐르는 강.첸장[黔江]이라고도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