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12,480개

예방아전(禮房衙前)[아림가(娥林歌) 36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각 지방 관아의 예방(禮房)에 속하여 예전(禮典)에 대한 일을 맡아보던 구실아치.

예배[제삼별회심곡(第三別囬心曲) 7 페이지 / 전적]

공손한 마음으로 절을 함.

예법(禮法)[슈절자탄가 7 페이지 / 전적]

예법(禮法)[슈절자탄가 7 페이지 / 전적]

예복(禮服)[경기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의식을 치르거나 특별히 예절을 차릴 때에 입는 옷.

예복(禮服)[경기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의식을 치르거나 특별히 예절을 차릴 때에 입는 옷.

예부[석천집(石川集二-二)2-2 239 페이지 / 전적]

정사룡이 명종 5년(1550) 5월부터 이 시를 무렵까지 예조판서로 있었다.

예부(禮部)[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3 페이지 / 전적]

육부 가운데 의례·제향·교빙·학교·과거 등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로 몽고 간섭기인 충렬왕 원년(1275)에 이부(吏部)와 합쳐져 전리사가 되었다가 공민왕 5년(1356)에 다시 본래의 이름으로 돌아갔으며, 다시 예의사로 되었다가 공양왕 원년(1389)에 예조(禮曹)로 개편하였다.

예사(例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2 페이지 / 전적]

보통 있는 일.

예사말[백발가(白髮歌) 5 페이지 / 전적]

높이거나 낮추는 말이 아닌 보통 말.

예서[운청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여기서.

예석참예(禮席參預)[몽별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예석은 예식을 베푸는 자리. 참예는 참여(參與)임.

예석참예(禮席參預)[몽별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예석은 예식을 베푸는 자리. 참예는 참여(參與)임.

예속(禮俗)[거상제향가(居喪祭享歌) 5 페이지 / 전적]

예의범절에 관한 풍속.

예속(隸屬)[윤낭자영남가(윤낭영남가) 30 페이지 / 전적]

붙들어 구속함.

예수(隸首)[거창가라 8 페이지 / 전적]

황제(黃帝) 때의 사람인데, 처음으로 산수를 발명하고 도량형을 만들었다는 전설적 인물.

예수(隸首)[아림가(娥林歌) 8 페이지 / 전적]

황제(黃帝) 때의 사람인데, 처음으로 산수를 발명하고 도량형을 만들었다는 전설적 인물.

예수에 난초가 있네.[석천집(石川集二-二)2-2 34 페이지 / 전적]

예수는 동정호로 흘러드는 강물인데 예수(醴水)라고도 한다. 난초가 많아 난강(蘭江)이라고도 한다.

예악(禮樂) 문물(文物)[ 1 페이지 / ]

예법과 음악. 문화의 산물.

예악(禮樂)[백운처사경독가라(운처사경독가라) 4 페이지 / 전적]

예법과 음악을 함께 이르는 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