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12,480개

예의(禮義)[근혼가(謹婚歌) 6 페이지 / 전적]

존경의 뜻을 표하기 위하여 예로써 나타내는 말투나 몸가짐.

예의(禮義)[분별가(分別歌) 2 페이지 / 전적]

존경의 뜻을 표하기 위하여 예로써 나타내는 말투나 몸가짐.

예의가 아니면 말하지 말고, 예의가 아니면 말하지 말라[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45 페이지 / 전적]

비례물언(非禮勿言)과 비례물청(非禮勿聽)에 대한 풀이임. 비례(非禮)는 사욕(私慾)을 가리키는 것으로, 사욕을 삼가야 한다는 뜻에서 이른 말임.

예의범절(禮儀凡節)[무제(양신택졍하여) 7 페이지 / 전적]

모든 예의(禮儀)와 절차(節次).

예의삼백 외의삼천(禮儀三百 外儀三千)[셩경가 8 페이지 / 전적]

예의삼백 위의삼천(禮儀三百 威儀三千)을 이르는 말로 예를 크게 나눈 중요한 항목이 삼백이요, 예를 작게 나눈 세목이 삼천이란 뜻. (‘大哉 聖人之道 洋洋乎發育萬物 峻極干天 優優大哉 禮儀三百 威儀三千 待其人而後 行’.『중용』)

예의삼백 외의삼천(禮儀三百 外儀三千)[셩경가 8 페이지 / 전적]

예의삼백 위의삼천(禮儀三百 威儀三千)을 이르는 말로 예를 크게 나눈 중요한 항목이 삼백이요, 예를 작게 나눈 세목이 삼천이란 뜻. (‘大哉 聖人之道 洋洋乎發育萬物 峻極干天 優優大哉 禮儀三百 威儀三千 待其人而後 行’.『중용』)

예의삼백 위의삼천(禮儀三百 威儀三千)[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2 페이지 / 두루마리]

예를 크게 나눈 중요한 항목이 삼백이요, 예를 작게 나눈 세목이 삼천이란 뜻.

예의삼백 위의삼천(禮儀三百 威儀三千)[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2 페이지 / 두루마리]

예를 크게 나눈 중요한 항목이 삼백이요, 예를 작게 나눈 세목이 삼천이란 뜻.

예의염치(禮義廉恥)[명륜가(明倫歌) 18 페이지 / 전적]

예절, 의리, 청렴, 부끄러움을 아는 태도.

예의염치(禮義廉恥)[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7 페이지 / 전적]

예절(禮節)과 의리(義理)와 청렴(淸廉)한 마음과 부끄러워하는 태도(態度).

예의염치(禮義廉恥)[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7 페이지 / 전적]

예절(禮節)과 의리(義理)와 청렴(淸廉)한 마음과 부끄러워하는 태도(態度).

예의염치(禮義廉恥)[고분가 6 페이지 / 전적]

예절, 의리, 청렴, 부끄러움을 아는 태도.

예의염치(禮義廉恥)[고분가 6 페이지 / 전적]

예절, 의리, 청렴, 부끄러움을 아는 태도.

예의염치(禮義廉恥)[잣치가라(치라) 9 페이지 / 전적]

예절, 의리, 청렴, 부끄러움을 아는 태도.

예의염치(禮義廉耻)[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56 페이지 / 전적]

예절과 의리와 청렴 및 부끄러움을 아는 태도.

예장(豫章)[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03 페이지 / 전적]

「豫章」―文選 張∝의 西京賦에「旋憩乎昆明之池 登豫章」이라했는데 註에「豫章은 池中의 臺이라」라 했음.

예장(豫章)[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15 페이지 / 전적]

「豫章」―宋 羅從彦의 字는 仲素요 豫章人인데 龜山 楊時를 師事하였고、廷平 李侗은 豫章을 師事하여 朱子에게 전수하였음。

예장(禮裝)[조심가라 32 페이지 / 전적]

혼인할 때에, 사주단자의 교환이 끝난 후 정혼이 이루어진 증거로 신랑 집에서 신부 집으로 예물을 보냄. 또는 그 예물.

예장(禮裝)[조심가라 32 페이지 / 전적]

혼인할 때에, 사주단자의 교환이 끝난 후 정혼이 이루어진 증거로 신랑 집에서 신부 집으로 예물을 보냄. 또는 그 예물.

예장(禮狀)[과부가(寡婦歌) 2 페이지 / 전적]

혼인 때에 신랑 집에서 예단(禮緞)에 붙여 신부 집에 보내는 편지.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