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대석(戴石)[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3 페이지 / 전적]

받든 바위, 얹힌 돌.

대석을[화류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배석을 잘못 표기한 듯 하다. 배석은 앉아서 노는 자리

대설(大雪) 동지(冬至)[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8 페이지 / 전적]

일년 24절후의 하나. 양력으로 12월 7일경임. 일년 24절후의 하나. 양력으로 12월 22일경임.

대설(大雪)이 만궁도(滿宮都)하니[슈양가 3 페이지 / 전적]

큰 눈이 도성에 가득 내리니.

대성(大姓)[애부가(부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①후손이 번성한 성씨. ②지체가 높은 집안의 성씨.

대성(大姓)[애부가(부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①후손이 번성한 성씨. ②지체가 높은 집안의 성씨.

대성(大姓)[가사애부가(가부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①후손이 번성한 성씨.②지체가 높은 집안의 성씨.

대성(大成)[막소가(莫笑歌) 11 페이지 / 전적]

갱정유도(更定儒道)의 창시자인 강대성을 일컫는 듯 하다.

대성(大聖)[ 1 페이지 / ]

큰 성인. 공자나 석가의 존칭.

대성(大聖)[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84 페이지 / 전적]

큰 성인. 공자나 석가의 존칭.

대성(大聖)[해몽가라(몽가라) 13 페이지 / 전적]

큰 성인. 본문에서는 최제우를 가리킴.

대성(大聖)[본문가라 10 페이지 / 전적]

①가장 덕(德)이 높은 성인(聖人) ②지극(至極)히 거룩한 사람 ③공자(孔子)의 존칭(尊稱).'석가(釋迦)'의 딴이름 ④또는, 석가(釋迦)처럼 정각(正覺)을 얻은 사람의 존칭(尊稱).

대성(大聖)[본문가라 10 페이지 / 전적]

①가장 덕(德)이 높은 성인(聖人) ②지극(至極)히 거룩한 사람 ③공자(孔子)의 존칭(尊稱).'석가(釋迦)'의 딴이름 ④또는, 석가(釋迦)처럼 정각(正覺)을 얻은 사람의 존칭(尊稱).

대성(大聖)[본문가라 10 페이지 / 전적]

①가장 덕(德)이 높은 성인(聖人) ②지극(至極)히 거룩한 사람 ③공자(孔子)의 존칭(尊稱).'석가(釋迦)'의 딴이름 ④또는, 석가(釋迦)처럼 정각(正覺)을 얻은 사람의 존칭(尊稱).

대성(大聖)[본문가라 10 페이지 / 전적]

①가장 덕(德)이 높은 성인(聖人) ②지극(至極)히 거룩한 사람 ③공자(孔子)의 존칭(尊稱).'석가(釋迦)'의 딴이름 ④또는, 석가(釋迦)처럼 정각(正覺)을 얻은 사람의 존칭(尊稱).

대성(臺省)[송강집(松江集一)1 149 페이지 / 전적]

사헌부(司憲府)를 이름.

대성대법(大聖大法)[벌교사(벌교) 13 페이지 / 전적]

큰 성인 곧 '공자'와 '부처'를 뜻함.

대성전(大成殿)[아림가(娥林歌) 35 페이지 / 전적]

문묘 안에 공자의 위패를 모신 전각.

대성전(大聖殿)[권도가(勸道歌) 3 페이지 / 전적]

문묘(文廟) 안에 있는 공자의 위패를 모시는 전각

대성존(大聖尊)[권왕가 8 페이지 / 전적]

대성(大聖). 석가(釋迦)의 존칭.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