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대욕(大慾)[구산가(求山歌) 7 페이지 / 전적]

큰 욕심이나 욕망.

대욕(大慾)[답산가(踏山歌) 1 페이지 / 전적]

큰 욕심이나 욕망.

대욕(大辱)[종매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큰 허물.

대용(大用)[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32 페이지 / 전적]

「大用」- 누구의 字인지 未詳함.

대우[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15 페이지 / 전적]

보리·밀·조 따위를 심은 밭이랑에 콩이나 팥 따위를 심는 일.

대우(大禹)[권학가 3 페이지 / 전적]

중국 고대의 성왕(聖王)인 우왕(禹王)을 높이어 이르는 말.

대우(大禹)[화전가1 14 페이지 / 전적]

하(夏)나라를 창업한 성왕(聖王) 왕이 되기 전에 요(堯) · 순(舜) 두 임금을 섬겨 홍수(洪水)를 다스리는데 큰 공을 세웠다 함.

대우(大禹)[화전가2 15 페이지 / 전적]

하(夏)나라를 창업한 성왕(聖王) 왕이 되기 전에 요(堯) · 순(舜) 두 임금을 섬겨 홍수(洪水)를 다스리는데 큰 공을 세웠다 함.

대우(大雨) 행시(行時)[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15 페이지 / 전적]

큰비. 때를 적당히 맞추어 오는 것.

대우방(大雨方[해몽가라(몽가라) 9 페이지 / 전적]

큰 비가 사방에 내림.

대우방수(大雨方數千里)[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9 페이지 / 전적]

큰 비가 사방 수천리에 내림.

대우방수(大雨方數千里)[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9 페이지 / 전적]

큰 비가 사방 수천리에 내림.

대우씨(大禹氏)[황남별곡(黃南別曲) 5 페이지 / 전적]

중국 최초의 왕조로 알려진 하(夏)나라를 건국한 우(禹)임금을 말함.순(舜)임금에게 전커되어 황하의 범람을 막고, 구주(九州)를 잘 다스렸다고 함.

대웅단(大雄壇)[회심곡 14 페이지 / 두루마리]

대웅전(大雄殿). 본존 불상(本尊佛像)을 모신 법당의 이름.

대웅보전(大雄寶殿)[금강산유람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본존불상(本尊佛像)을 모신 법당(法堂). 사찰에서 가장 큰 법당.

대웅전(大雄殿)[일회심곡(一回心曲) 7 페이지 / 전적]

불교 선종 계통의 절에서 본존 불상(本尊佛像)을 모신 법당.

대웅전(大雄殿)[천지지분이라(천디디분이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불교 선종 계통의 절에서 본존불상(本尊佛像)을 모셔 놓은 법당..

대웅전에[착현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대웅전(大雄殿)은 각황전(覺皇殿)이라고도 이르며 본존불인 석가여래를 모신 사찰의 대표적인 법당.

대원[팔역가(八域歌) 35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 무신 이대원 장군

대원(臺院)[백세보중(百世葆重 一)1 47 페이지 / 전적]

임금에 대한 간쟁의 임무를 맡고 있는 사간원의 별칭임.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