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대소사(大小事)[오륜가라 13 페이지 / 전적]

큰 일과 작은 일을 아울러 이르는 말.

대소상고(大小上告)[종매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크고 작은 알릴 일.

대송(大宋)[권학가 4 페이지 / 전적]

중국 송(宋) 나라에 대한 미칭(美稱).

대송(大宋)[옥셜화답 4 페이지 / 전적]

중국의 송나라(960∼1279). 당·오대십국(五代十國)에 이어지는 왕조로서, 처음 개봉(開封)에 도읍하였으나 1126년 정강(靖康)의 변란으로 강남(江南)으로 옮겨 임안(臨安, 杭州)에 천도하였는데, 개봉 시대를 북송(北宋), 임안 시대를 남송(南宋)이라 함.

대송(大宋)[녁대가(녁가) 60 페이지 / 전적]

송(宋)나라. 중국 역사상 당(唐)·오대십국(五代十國)에 이어지는 왕조(960∼1279). 후주(後周)의 세종(世宗)이 죽은 뒤 그의 부장(部將)인 조광윤(趙匡胤

대수(代囚)[효자가 4 페이지 / 전적]

대신하여 옥에 갇힘.

대수(大樹)[석천집(石川集二-三)2-3 158 페이지 / 전적]

석천(石川) 임억령(林億齡,1496-1568) 본인의 자(字).

대수(大樹)[석천집(石川集二-五)2-5 116 페이지 / 전적]

이 시를 제작한 임억령(林億齡)의 자임

대수(大水)[승차선비가(乘車船飛歌) 4 페이지 / 전적]

큰물.홍수(洪水).

대수장군(大樹將軍)[ 1 페이지 / ]

자신의 전공(戰功)을 자랑하지 않는 장군을 이르는 말. 후한(後漢)의 개국공신(開國功臣)인 풍이(馮異)는 광무제(光武帝)를 섬겨 많은 전공을 세웠으나 사람이 겸양하여 논공행상(論功行賞)할 즈음이면 언제나 자신의 공로를 발표하지 않고 큰 나무 아래에서 한가히 쉬고 있었으므로 대수장군이라는 별칭이 있게 되었다.《後漢書 卷十七 馮異列傳》

대수장군(大樹將軍)[고봉선생문집 권삼(高峰先生文集 券三) 66 페이지 / 전적]

자신의 전공(戰功)을 자랑하지 않는 장군을 이르는 말. 후한(後漢)의 개국공신(開國功臣)인 풍이(馮異)는 광무제(光武帝)를 섬겨 많은 전공을 세웠으나 사람이 겸양하여 논공행상(論功行賞)할 즈음이면 언제나 자신의 공로를 발표하지 않고 큰 나무 아래에서 한가히 쉬고 있었으므로 대수장군이라는 별칭이 있게 되었다.《後漢書 卷十七 馮異列傳》

대순[회초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죽순(竹筍)과 같은 말.

대순(大舜)[계녀사라 4 페이지 / 전적]

중국 고대의 황제인 순 임금을 말하며, 효감동천(孝感動天)의 고사가 전함. 순 임금의 부친인 고수(瞽瞍)가 계모를 맞이한 후 계모가 순을 심하게 박대하였으나, 순이 변함없이 지극한 효를 다하자 이에 감동한 하늘이 동물을 부려 순의 농사를 도와주게 하여 해마다 풍년을 이루었다는 고사임.

대순(大舜)[석천집(石川集二-五)2-5 147 페이지 / 전적]

순임금을 아름답게 일컫는 말.

대순(大舜)[종매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순 임금.

대순(大舜)[헌수가라 10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의 전설상의 임금. 순(舜)임금. 효행(孝行)으로 이름이 높았음.

대순(大舜)[헌수가라 10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의 전설상의 임금. 순(舜)임금. 효행(孝行)으로 이름이 높았음.

대순(大舜)[충효가(忠孝歌) 23 페이지 / 전적]

효성이 지극했다고 전해지는 중국의 순임금을 높여 부르는 말. 이 노래에서는 순임금의 고사를 인용하고 있음.

대순(大舜)[로인가 10 페이지 / 전적]

순임금을 높여 이르는 말.

대순증삼(曾參)[용산세보(蓉山世寶) 2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제자로 효행으로 이름난 인물.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