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대성존(大聖尊)[자책가(가) 18 페이지 / 전적]

부처를 크게 성스럽고 존엄하다고 일컫는 데서 이른 말.

대성지성(大成至聖)[황남별곡(黃南別曲) 21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작호(爵號)인 대성지성 문선왕(大成至聖 文宣王)의 준말.

대성지성(大聖至聖)[조심가라 10 페이지 / 전적]

슬기와 덕행이 뛰어난 성인. 여기에서는 공자를 가리킴.

대성지성(大聖至聖)[조심가라 10 페이지 / 전적]

슬기와 덕행이 뛰어난 성인. 여기에서는 공자를 가리킴.

대성지성문선왕(大成至聖文宣王)[도덕가(道德歌) 3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시호

대성통곡(大聲痛哭)[사친가2(思親歌(二)) 9 페이지 / 전적]

큰 목소리로 몹시 슬프게 욺.

대성통곡(大聲痛哭)[군산월애원가(군월원가) 16 페이지 / 전적]

큰 소리로 목놓아 울부짖음.

대성통곡(大聲痛哭)[남산동이진사효행록(남동이진효횡녹) 2 페이지 / 전적]

큰 소리로 목놓아 울부짖음.

대성통곡(大聲痛哭)[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25 페이지 / 전적]

큰 소리로 목을 놓아 슬피 욺.

대성통곡(大聲痛哭)[연행별곡(연별곡) 15 페이지 / 전적]

큰 소리로 목을 놓아 슬피 욺.

대성통곡(大聲痛哭)[형졔분슈가 11 페이지 / 전적]

큰 소리로 몹시 슬프게 곡을 함.

대성호(大聖號)[권왕가 13 페이지 / 전적]

대성에 대한 부름. 대성(大聖) : 석가(釋迦)의 존칭.

대소(大笑)[자치가라 22 페이지 / 두루마리]

큰 소리로 내어 웃음.

대소(大笑)[잣치가라(치라) 5 페이지 / 전적]

한바탕 웃음.

대소(大笑)[소상팔경가 12 페이지 / 전적]

크게 웃음.

대소(大笑)[가야희인곡 4 페이지 / 두루마리]

크게 웃음.

대소(大笑)[북쳔가 34 페이지 / 두루마리]

크게 웃다.

대소과(大小科)[김씨효행가 12 페이지 / 두루마리]

대과(大科)와 소과(小科)를 아울러 이르는 말. 대과(大科)는 과거(科擧)의 문과와 무과를 소과(小科)에 상대하여 이르던 말. 소과(小科)는 생원과 진사를 뽑던 과거. 초시와 복시가 있었음.

대소맥(大小麥)[근농가(勤農歌) 4 페이지 / 전적]

대맥은 겉보리이며, 소맥은 밀을 뜻함.

대소방원(大小方圓)[금강산유람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크고 작고 모진 것과 둥근 것을 아울러 이르는 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