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대의재(大矣哉)[권왕가 36 페이지 / 전적]
훌륭하도다. 크도다. 아미타(阿媚陀) : 앞에 든 각주 161 참조.
대인 상호(大人相好)[권왕가 8 페이지 / 전적]
대인군자(大人君子)의 얼굴 형상. 대인(大人) : 대인군자(大人君子)의 준말. 말과 행실이 바르고 점잖으며 덕이 높은 사람.
대인(大人)[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07 페이지 / 전적]
「大人藐」- 孟子 盡心篇에 「說大人 則藐之 物視其巍巍然」이라하였고, 註에 「大人은 당시의 尊貴者를 말함이요 藐는 輕視의뜻이라」하였음.
대인(大人)[경명가(敬命歌) 5 페이지 / 전적]
덕과 지위가 있는 사람.
대인(大人)은 여천지합기덕(與天地合其德) 여일월합기명(與日月合其明) 여귀신합기길흉(與鬼神合[도덕가 3 페이지 / 전적]
대인은 천지와 더불어 그 덕을 같이하며, 일월과 더불어 그 밝음을 같이하고, 귀신과 더불어 그 길흉을 같이하는 것이라.
대인군자(大人君子)[옥산가라 17 페이지 / 전적]
말과 행실이 바르고 점잖으며 덕이 높은 사람.
대인군자(大人君子)[자연천의설(自然天意說) 8 페이지 / 전적]
말과 행실이 바르고 점잖으며 덕이 높은 사람.
대인군자(大人君子)[청림도사궁을전(靑林道士弓乙傳) 2 페이지 / 전적]
말과 행실이 바르고 점잖으며 덕이 높은 사람.
대인접물(對人接物)[회경가 8 페이지 / 전적]
남과 접촉하여 사귀는 것을 말함
대인접물(待人接物)[벌교사(벌교) 8 페이지 / 전적]
남과 접촉하여 사귐.
대일통(大一統)[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8 페이지 / 전적]
「大一統」- 道學의 統一을 말함.公羊傳에 『何言乎王正月 大一統也』라 하였음.
대자(大慈)[셔운가 10 페이지 / 전적]
큰 자비(慈悲).부처의 큰 자비(慈悲)
대자(大慈)[셔운가 10 페이지 / 전적]
큰 자비(慈悲).부처의 큰 자비(慈悲)
대자(大慈)[셔운가 10 페이지 / 전적]
큰 자비(慈悲).부처의 큰 자비(慈悲)
대자(大慈)[셔운가 10 페이지 / 전적]
큰 자비(慈悲).부처의 큰 자비(慈悲)
대자대비(大慈大悲)[권왕가 50 페이지 / 전적]
앞에 든 각주 555 참조. 증승(曾勝) : 일찍부터 뛰어남.
대자대비(大慈大悲)[송구영신가권지일(送舊迎新歌卷之一) 19 페이지 / 전적]
넓고 커서 끝이 없는 부처와 보살의 자비. 특히 관세음보살이 중생을 사랑하고 불쌍히 여기는 마음을 이른다.
대자대비(大慈大悲)[막소가(莫笑歌) 11 페이지 / 전적]
부처님과 보살의 크고 깊은(廣大深遠)자비로 지혜와 함께 불교 실천의 2대(二大) 중심적 덕목이다.자(慈)는 친애하는 것, 우정(友情)을 가리키며, 비(悲)는 연민(憐憫), 동정(同情)을 나타낸다.
대자비(大慈悲)[가야희인곡 8 페이지 / 두루마리]
넓고 커서 끝이 없는 부처와 보살의 자비. 대자대비(大慈大悲)와 같은 말.
대작(大嚼)[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46 페이지 / 전적]
「大嚼」―屠門大嚼의 뜻인데, 마음으로는 몹시 歆羨하나 실로얻지 못하기 때문에 이미 얻은것처럼 여기어, 스스로 유쾌하게 여긴다는 말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