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대원국(大元國)[춘몽가(츈몽가) 35 페이지 / 전적]

곡예 ·구경거리 ·연극 ·술집 ·춤추는 무대 ·음식점 ·만담장 ·유곽 등 서민의 연예장 ·오락시설이 집결해 있는 곳.중국 송대(宋代) 이후 성황을 이루었던 장소.와사(瓦肆) 또는 와사(瓦舍) ·와(瓦) 등으로도 불리움.와합(瓦合) ·와해(瓦解) 등의 말이 뜻하듯, 사람이 모이기 쉽고 흩어지기 쉬운 데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고 함.

대원국(大元國)[춘몽가(츈몽가) 34 페이지 / 전적]

고려 1116년(예종 11) 요(遼)나라 세력이 약해진 틈을 타서 랴오둥[遼東] 지방에 잠시 생겼던 나라.

대원군(大院君)[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53 페이지 / 전적]

임금이 대를 이을 자손이 없어 방계(傍系)로 왕위를 이은 임금의 친아버지에게 주던 벼슬.

대원수(大元帥)[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8 페이지 / 전적]

국가의 전군(全軍)을 통솔하는 최고 계급인 원수(元帥)를 더 높여 이르는 말.

대원수(大元帥)[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8 페이지 / 전적]

국가의 전군(全軍)을 통솔하는 최고 계급인 원수(元帥)를 더 높여 이르는 말.

대원수(大元帥)[갑지녹이라 3 페이지 / 전적]

전군을 통솔하는 군의 최고 통솔자.

대원풍(大願風) 대원(大願)[자책가(가) 23 페이지 / 전적]

부처가 바라는 대원(大願)의 바람. 부처가 중생을 구제하고자 하는 서원(誓願).

대월(對越)[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46 페이지 / 전적]

「對越」-在天의 神을 대한다는 뜻인데 越은 助詞임. 詩經 周頌 淸廟에「對越在天」의 句가 있음.

대월서화(待月瑞花)[효행가(효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달을 기다려 상서로운 꽃을 만나다.

대월서화(待月瑞花)[효행가(효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달을 기다려 상서로운 꽃을 만나다.

대위(大圍)[고봉선생문집 권이(高峰先生文集 券二) 161 페이지 / 전적]

대과(大科)와 같은 말로 문과 시험을 말한다. 옛날 과장(科場)에는 일반인의 통행을 금하기 위하여 가시나무 울타리를 둘러쳤었는데 여기에서 유래한 말이다

대위(大爲)[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5 페이지 / 전적]

고려시대 1135년(인종 13) 묘청 등이 난을 일으키고 서경을 도읍으로 하여 세운 나라.

대유(大幽)[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93 페이지 / 전적]

「大幽」―地下를 말함。

대유녀(待留女)[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19 페이지 / 전적]

부녀자들을 징발하여 데려감.

대유마(待留馬)[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19 페이지 / 전적]

말을 징발하여 데려감.

대윤(大尹)[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7 페이지 / 전적]

조선(朝鮮) 시대(時代) 12대 인종(仁宗)의 외척 윤 임(尹任)을 중심(中心)으로 한 그 일파. 소윤(小尹) 윤 원형 일파에 의(依)해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화를 당(當)함.

대음(大音)[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75 페이지 / 전적]

「大音」―값진 音樂을 이름.希는 音節이 希濶하다는 말임.禮經 樂記에 「淸廟之瑟 朱絃而踈越」 이라 했음.越은 瑟底의 孔임.

대의[팔역가(八域歌) 46 페이지 / 전적]

임진왜란 때 조선을 도운 신종에게 의리를 갚은다는 뜻

대의(大義)[제면암최선생익현동업기비봉 3 페이지 / 전적]

사람으로서 마땅히 행하거나 지켜야 할 큰 의리.

대의대체(大義大體)[명륜가(明倫歌) 63 페이지 / 전적]

중요한 의의와 전체의 범위.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