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대승 경전(大乘經典)[권왕가 9 페이지 / 전적]

대승경(大乘經). 대승의 교법을 해설한 다섯 가지의 경전. 대승(大乘) : 앞에 든 각주 26 참조.

대식국(大食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2 페이지 / 전적]

타직키스탄, 소그디아 지역을 이른다.

대신[권학가 9 페이지 / 전적]

다른 이본에는 ‘귀신’으로 되어 있다.

대신[도덕가 1 페이지 / 전적]

다른 이본에는 ‘귀신’으로 되어 있다.

대신(代身)[경명가(敬命歌) 3 페이지 / 전적]

어떤 대상의 자리나 구실을 바꾸어서 새로 맡음. 또는 그렇게 새로 맡은 대상.

대신(帶紳)[경명가(敬命歌) 6 페이지 / 전적]

허리에 두르는 띠.

대아(大兒)[운청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큰 아이.

대안(對岸)[환행가 15 페이지 / 두루마리]

강, 호수, 바다 따위의 건너편에 있는 언덕이나 기슭.

대안(對岸)[환행가 15 페이지 / 두루마리]

강, 호수, 바다 따위의 건너편에 있는 언덕이나 기슭.

대안도(戴安道)[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14 페이지 / 전적]

「戴安道」― 晋 譙國人 戴逵의 字는 安道인데 性이 高潔하여 거문고를 잘하고 書畫에 工하였음. 여기는 王子猷가 雪月良夜에剡溪로 安道를 찾아간 故事를 쓴 것임. 詳細는 見上.

대야동두 점점산(大野東頭點點山)[상사가라 5 페이지 / 전적]

동쪽에 점점이 산이 보이네. 고려시대 때 김황원(金黃元)이 지은 「부벽루(浮碧樓)」 시로서, 김황원(金黃元)이 이 두 구절을 짓고는 더 이상 좋은 시구(詩句)를 지을 수 없어서 포기하였다고 함.

대언(代言)[기수가 7 페이지 / 전적]

남을 대신하여 말함.

대언우(代言牛)[송강집(松江集二)2 87 페이지 / 전적]

미상

대없이[경게가라 16 페이지 / 전적]

티 없이.

대없이[경게가라 16 페이지 / 전적]

티 없이.

대여(大輿)[한흥가라 46 페이지 / 전적]

국상(國喪) 때에 쓰던 큰 상여. 4개의 줄을 32~60명이 메었다.

대여(大輿)[한흥가라 46 페이지 / 전적]

국상(國喪) 때에 쓰던 큰 상여. 4개의 줄을 32~60명이 메었다.

대여(大輿)[한흥가라 46 페이지 / 전적]

국상(國喪) 때에 쓰던 큰 상여. 4개의 줄을 32~60명이 메었다.

대여(大輿)[한양가라 45 페이지 / 전적]

나라에서 쓰던 큰 상여.

대연보결(大宴補缺)[대동가(동가) 17 페이지 / 두루마리]

큰 규모로 벌인 잔치에 결원이 생겼을 때에 그 빈자리를 채움.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