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대연수(大衍數)[직금가라 7 페이지 / 전적]

대연을[착현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큰 잔치

대염제이천자위(代炎帝而天子位)[구궁환정구구가(九宮還定九九歌) 4 페이지 / 전적]

염제를 대신하여 천자로 자리잡다.

대영對影[ 1 페이지 / ]

그림자를 대하다.

대와(大窩)[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56 페이지 / 전적]

크게 움푹 들어간 곳.

대와간(大窩間)[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36 페이지 / 전적]

크게 움푹 들어간 곳.

대완(大宛)[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56 페이지 / 전적]

「大宛」― 漢 西域 諸國의 하나로서 北으로는 康居와 通하고 西南 및 南으로는 大月氏와 더불어 接했는데, 그 地域이 예로부터 産馬로 이름났다.

대완(大宛)[연행별곡(연별곡) 26 페이지 / 전적]

서역땅 한무제 때 한혈마(汗血馬)를 얻었던 나라.대완국은 명마(名馬)의 산지.

대완구(大碗口)[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53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지름 30cm쯤 되는 쇠나 돌로 만든 둥근 탄알을 넣어 쏘던 큰 화포.

대왕 길을[착현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염라대왕이 계신 저승 길

대왕(大王)[초한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염라대왕(閻羅大王)’을 지칭함.

대왕(大王)[초한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염라대왕(閻羅大王)’을 지칭함.

대왕(大王)[한양가라 3 페이지 / 전적]

선왕(先王)을 높여 부르는 말.

대왕공부[후임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대과(大科) 공부’인 듯.

대왕대비(大王大妃)[거창가 4 페이지 / 전적]

헌종의 할머니, 곧 순조비(純祖妃)를 말함.

대왕대비(大王大妃)[거창가 4 페이지 / 전적]

헌종의 할머니, 곧 순조비(純祖妃)를 말함.

대왕대비(大王大妃)[거창가라 11 페이지 / 전적]

헌종의 할머니, 곧 순조비(純祖妃)를 말함.1834년 순조가 죽자 헌종이 8세로 즉위하였는데 순조의 비 순원왕후(純元王后) 김씨(金氏)가 수렴청정하였다.

대왕대비(大王大妃)[아림가(娥林歌) 11 페이지 / 전적]

헌종의 할머니, 곧 순조비(純祖妃)를 말함. 1834년 순조가 죽자 헌종이 8세로 즉위하였는데 순조의 비 순원왕후(純元王后) 김씨(金氏)가 수렴청정하였다.

대왕전[가야희인곡 8 페이지 / 두루마리]

대웅전(大雄殿).

대왕존안(大王尊顔)[한양가라 78 페이지 / 전적]

왕의 얼굴을 높여 부르는 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