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도연명(陶淵明)[옥산가라 54 페이지 / 전적]
중국 동진의 시인(365~427). 이름은 잠(潛). 호는 오류선생(五柳先生). 연명은 자(字). 405년에 팽택현(彭澤縣)의 현령이 되었으나, 80여 일 뒤에 <귀거래사>를 남기고 관직에서 물러나 귀향.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나라 이후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이라 불림. 시 외의 산문 작품에 <오류선생전>, <도화원기> 이 있음.
도연명(陶淵明)[환무자탄가 20 페이지 / 전적]
중국 동진(東晋) 때 시인. <귀거래사(歸去來辭)>로 유명함.
도연명(陶淵明)[가야희인곡 9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동진의 시인(365~427). 이름은 잠(潛). 호는 오류선생(五柳先生).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나라 이후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이라 평가됨.
도연명(陶淵明)[창덕가2 85 페이지 / 전적]
중국 동진에서 유송(劉宋)경 까지의 전원시인.자는 원량(元亮), 연명은 명, 일설에는 명은 잠(潛), 자는 연명.노장(老莊) 사상에 입각한 낙천적 시풍은 후세에까지 추모됨.
도연명(陶淵明)[거창가라 16 페이지 / 전적]
중국 동진의 시인(365~427).이름은 잠(潛).호는 오류선생(五柳先生).연명은 자(字).405년에 팽택현(彭澤縣)의 현령이 되었으나, 80여 일 뒤에 <귀거래사>를 남기고 관직에서 물러나 귀향하였다.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나라 이후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이라 불린다.시 외의 산문 작품에 <오류선생전>, <도화원기> 따위가 있다.
도연명(陶淵明)[아림가(娥林歌) 17 페이지 / 전적]
중국 동진의 시인(365~427). 이름은 잠(潛). 호는 오류선생(五柳先生). 연명은 자(字). 405년에 팽택현(彭澤縣)의 현령이 되었으나, 80여 일 뒤에 <귀거래사>를 남기고 관직에서 물러나 귀향하였다.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나라 이후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이라 불린다. 시 외의 산문 작품에 <오류선생전>, <도화원기> 따위가 있다.
도연명(陶淵明)[타미계라(라미키라) 10 페이지 / 전적]
중국 동진에서 유송(劉宋)경 까지의 전원시인. 자는 원량(元亮), 연명은 명, 일설에는 명은 잠(潛), 자는 연명. 노장(老莊) 사상에 입각한 낙천적 시풍은 후세에까지 추모됨.
도연명(陶淵明)[퇴계 선생가라( 션가라) 2 페이지 / 전적]
중국 동진에서 유송(劉宋)경 까지의 전원시인. 자는 원량(元亮), 연명은 명, 일설에는 명은 잠(潛), 자는 연명. 노장(老莊) 사상에 입각한 낙천적 시풍은 후세에까지 추모됨.
도연명(陶淵明)[타미계라(라미키라) 10 페이지 / 전적]
중국 동진에서 유송(劉宋)경 까지의 전원시인. 자는 원량(元亮), 연명은 명, 일설에는 명은 잠(潛), 자는 연명. 노장(老莊) 사상에 입각한 낙천적 시풍은 후세에까지 추모됨.
도연명(陶淵明)[퇴계 선생가라( 션가라) 2 페이지 / 전적]
중국 동진에서 유송(劉宋)경 까지의 전원시인. 자는 원량(元亮), 연명은 명, 일설에는 명은 잠(潛), 자는 연명. 노장(老莊) 사상에 입각한 낙천적 시풍은 후세에까지 추모됨.
도연명(陶淵明)[창덕가2 86 페이지 / 전적]
중국 동진에서 유송(劉宋)경 까지의 전원시인.자는 원량(元亮), 연명은 명, 일설에는 명은 잠(潛), 자는 연명.노장(老莊) 사상에 입각한 낙천적 시풍은 후세에까지 추모됨.
도연명(陶淵明)[한별곡 15 페이지 / 전적]
중국 동진의 시인(365~427).이름은 잠(潛).호는 오류선생(五柳先生).연명은 자(字).405년에 팽택현(彭澤縣)의 현령이 되었으나, 80여 일 뒤에 <귀거래사>를 남기고 관직에서 물러나 귀향하였다.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나라 이후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이라 불린다.시 외의 산문 작품에 <오류선생전>, <도화원기> 따위가 있다.
도연명(陶淵明)[기수가 6 페이지 / 전적]
중국 동진의 시인으로 <귀거래사>라는 작품을 남김.당나라 이후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이라고 불림.
도연명이 꺾은 뒤부터[석천집(石川集二-二)2-2 75 페이지 / 전적]
도연명의 시 <음주(飮酒)>5에 ‘동쪽 울타리 밑에서 국화를 따고, 물끄러미 남산을 바라보네.[采菊東籬下, 悠然見南山]‘라는 구절이 있다.
도연명이 허리 꺾기에[석천집(石川集二-二)2-2 142 페이지 / 전적]
<<진서(晋書)>> 권94 <도잠전>에 의하면, 도연명이 팽택령으로 있을 때에 군에서 독우가 나왔는데 그에게 허리를 굽히기 싫어서 벼슬을 그만두었다고 한다. 그러나 <귀거래혜사> 서문에는 이러한 사연이 실려 있지 않다.
도오桃塢[ 1 페이지 / ]
도화오桃花塢를 말함. 복사꽃 핀 언덕.
도오강(渡烏江)[초한가라 6 페이지 / 전적]
오강을 건너다.
도요(桃夭)[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47 페이지 / 전적]
「桃夭」― 詩經 周南 桃夭章에「桃之夭夭 灼灼其華 之子于歸 冝其室家」라 했는데 이는 文王의 化가 家로부터 國에 미처 男女가 바르게 되고 婚姻도 때맞게 행하게 되므로 詩人이 이를 아름답게 지은 것임.
도요가절(桃夭佳節)[용문가라 4 페이지 / 전적]
복숭아꽃이 필 무렵이란 뜻으로, 혼인을 올리기 좋은 시절을 이르는 말. 처녀가 나이로 보아 시집가기에 알맞은 때.
도요시절(桃夭時節[화전가(화젼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복숭아꽃이 필 무렵. 혼인을 올리기 좋은 때로 비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