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도원도리(桃園桃李)[애부가(부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복숭아나무가 많은 정원의 복숭아와 오얏. 또는 그 꽃이나 열매.

도원도리(桃園桃李)[가사애부가(가부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복숭아나무가 많은 정원의 복숭아와 오얏.또는 그 꽃이나 열매.

도원동桃源洞[ 1 페이지 / ]

무릉도원, 도잠의 [도화원기]에 나오는 곳으로 탈속의 이상향.

도원량에게는[석천집(石川集二-二)2-2 8 페이지 / 전적]

도연명이 지은 <도화원기(桃花源記)>에 보면, 무릉의 어부가 복사꽃을 따라 시냇물을 거슬러 올라가다가 사람들에게 알려져 있지 않은 이상향에 이르러 몇일 동안 잘 대접받다가 돌아왔다고 한다.

도원수(都元帥)[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6 페이지 / 전적]

고려(高麗) 때부터 전쟁(戰爭)이 있을 적에 군무(軍務)를 통괄하던 장수(將帥). 임시(臨時) 무관직(武官職)으로, 대개 문관(文官)의 최고관(最高官)을 임명(任命)했음. 또는, 한 지방(地方)의 병권(兵權)을 도맡은 장수(將帥).

도원팔경(桃源八景)[면앙집(俛仰集 一)1 43 페이지 / 전적]

桃源:晋의 陶灒이 지은 桃花源記에 나온 말로 武陵漁父가 찾아갔다는 仙界

도위(都尉)[유소가 6 페이지 / 전적]

임금의 사위에게 주던 칭호.

도유(道儒)[흥비가 4 페이지 / 전적]

같은 도를 믿는 사람.

도유(道儒)[흥비가 4 페이지 / 전적]

도를 같이 하는 선비.

도유(都兪)[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19 페이지 / 전적]

「都兪」―書經 益稷에『禹曰「都 愼乃在位」帝曰「兪」』라 했는데 都는 歎美하는 辭요, 兪는 그 말을 肯定하는 뜻으로 되었음.

도유우불(都兪吁咈)[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11 페이지 / 전적]

도유(都兪)는 찬성의 감탄사, 우불(吁咈)은 반대의 감탄사를 말함. 중국 요(堯)임금이 여러 신하들과 정사를 의논할 때 쓰였는데, 임금이 여러 신하와 더불어 정치를 토론하고 심의함을 이름.

도유우불(都兪吁咈)[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11 페이지 / 전적]

도유(都兪)는 찬성의 감탄사, 우불(吁咈)은 반대의 감탄사를 말함. 중국 요(堯)임금이 여러 신하들과 정사를 의논할 때 쓰였는데, 임금이 여러 신하와 더불어 정치를 토론하고 심의함을 이름.

도은(陶隱)[석천집(石川集二-四)2-4 122 페이지 / 전적]

高麗末 李崇仁의 雅號.

도음산(道陰山)[유소가 7 페이지 / 전적]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과 신광면의 경계에 있는 산이다.

도음직도[남천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돕다.

도음직도[남천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돕다.

도읍(都邑)[옥설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그 나라의 수도를 정함.

도읍(都邑)[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4 페이지 / 전적]

서울. 한 나라의 수도를 정함.

도응(都膺)[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4 페이지 / 전적]

고려 말에서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자는 자예(子藝), 호는 청송당(靑松堂)이다. 고려 말 찬성사(贊成事)를 지내다가, 조선 건국 후 태조가 죽마지우인 그를 상장군에 봉하였으나 거절하고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절개를 지켰다.

도임(到任)[심심가(尋心歌) 39 페이지 / 전적]

지방의 관리가 근무지에 도착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