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도요시절(桃夭時節[화전가(화젼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복숭아꽃이 필 무렵. 혼인을 올리기 좋은 때로 비유.

도요시절(桃夭時節)[명궁처아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복숭아꽃이 한창일 무렵의 뜻으로, 혼인을 하기에 알맞은 때를 이름.

도요시절(桃夭時節)[명궁처아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복숭아꽃이 한창일 무렵의 뜻으로, 혼인 하기에 알맞은 때를 이름.

도요시절(桃夭時節)[칠여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복숭아꽃이 필 무렵이란 뜻으로, 혼인을 올리기 좋은 시절을 이르는 말. 처녀가 나이로 보아 시집가기에 알맞은 때.

도요시절(桃夭時節)[동국조선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복숭아꽃이 한창일 무렵의 뜻으로, 혼인을 하기에 알맞은 때를 이르는 말, 처녀가 나이로 보아 시집가기에 알맞은 때.,

도요시절(桃夭時節)[옥설가라 14 페이지 / 전적]

복숭아꽃이 필 무렵이란 뜻으로, 혼인을 올리기 좋은 시절을 이르는 말.

도요절(桃夭節)[황젼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도요시절(桃夭時節)을 줄인말. 복숭아꽃이 필 무렵이란 뜻으로, 혼인을 올리기 좋은 시절을 이르는 말.

도용(陶鎔)[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八)8 99 페이지 / 전적]

陶는 瓦器를 製作하는자요 鎔은 ∝金者를 이름인데 또한 化育∝成의 義로 借用하기도 함 淮南子 俶眞에 「包裏天地 陶鎔萬物」이란 句가 보임.

도우(屠牛)[권왕가 58 페이지 / 전적]

소를 잡는 일. 웅준(雄俊), 장선화(張善和) :『왕생전(往生傳)』에 나오는 인물들임. (임기중 편저『한국가사문학주해연구』② 462쪽, 2005년 참조.)

도우(屠牛)[자책가(가) 21 페이지 / 전적]

소를 잡는 일. 탄이(坦夷) : 탄연(坦然). 아무 걱정 없이 평정함.

도우(屠牛)[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02 페이지 / 전적]

「屠牛」-楚辭 天問註에『呂望이 鼓刀하며 列肆에 있으므로 文王이 친히 가서 물으니 呂望은 대답하기를「下屠屠牛 上屠屠國」이라 했다』하였음。

도우불행(道遇不幸)[역대삼재가라 6 페이지 / 전적]

길에서 어려움을 만남.

도우상림(禱雨桒林)[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9 페이지 / 전적]

상림(桑林)에서 비가 내리기를 빔.

도우상림(禱雨桒林)[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9 페이지 / 전적]

상림(桑林)에서 비가 내리기를 빔.

도원(桃園)[고분가 22 페이지 / 전적]

무릉도원.

도원(桃園)[고분가 22 페이지 / 전적]

무릉도원.

도원(桃源)[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18 페이지 / 전적]

「桃源」― 구曲의 「漁郞更覔桃源路 除是人間別有天」을 두고서 풀이한 것임

도원(桃源)[석천집(石川集二-五)2-5 107 페이지 / 전적]

무릉도원(武陵桃源)의 준말. 별천지. 신선의 세계. 중국 진나라 도잠(陶潛)의 <도화원기(桃花源記)>에서 연유하여 쓰인 말임.

도원결의(桃園結義)[명륜가(明倫歌) 103 페이지 / 전적]

후한(後漢) 말 유비, 관우, 장비가 도원에서 결의형제를 맺은 고사. 뒤에 의형제를 맺고 함께 일을 도모하는 전고로 쓰임.

도원도리(桃園桃李)[애부가(부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복숭아나무가 많은 정원의 복숭아와 오얏. 또는 그 꽃이나 열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