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도산 검수(刀山劍樹)[권왕가 37 페이지 / 전적]

앞에 든 각주 322 참조.

도산(塗山)[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2 페이지 / 전적]

중국 상고 시대 하(夏)나라 우왕(禹王)의 아내인 도산씨(塗山氏)를 이르는 말.

도산(道山)[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04 페이지 / 전적]

後漢書에 東觀藏書室을 稱하여 道家의 蓬萊山이라 일

도산도수(導山導水)[헌수가라 12 페이지 / 두루마리]

산수를 잘 다스림.

도산도수(導山導水)[헌수가라 12 페이지 / 두루마리]

산수를 잘 다스림.

도산서원(道山書院)[아림가(娥林歌) 36 페이지 / 전적]

경남 거창군 가조면 일부리에 있던 서원. 1661년(현종2년) 김굉필, 정여창, 정온, 이언적 등 네 분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지방 유림의 발의로 창건하여 이 분들의 위패를 모셨다.

도산일수(刀山釰樹)[이회심곡(二回心曲) 4 페이지 / 전적]

칼을 심어 놓은 산이 있다는 지옥인 도산지옥(刀山地獄)을 말함.

도산지옥[착현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저승의 감옥

도산지옥[제삼별회심곡(第三別囬心曲) 14 페이지 / 전적]

칼을 심어 놓은 산이 있다는 지옥.

도산지옥(刀山地獄)[자책가(가) 17 페이지 / 전적]

지옥에 있다는, 칼을 심어놓은 산, 즉 도산(刀山)에서 고통을 받게 하는 지옥.

도산지옥(刀山地獄)[일회심곡(一回心曲) 8 페이지 / 전적]

칼을 심어 놓은 산이 있다는 지옥.

도산지옥(刀山地獄)[서가여래가사라 11 페이지 / 두루마리]

10지옥의 하나. 칼이 솟아있는 산을 밟고 가는 고통을 겪는 지옥. 월천공덕(越川功德)과 급식공덕(給食功德)으로 면할 수 있다고 함.

도산지옥(刀山地獄)[서가여래가사라 11 페이지 / 두루마리]

10지옥의 하나. 칼이 솟아있는 산을 밟고 가는 고통을 겪는 지옥. 월천공덕(越川功德)과 급식공덕(給食功德)으로 면할 수 있다고 함.

도상(圖像)[송강집(松江集六)6 26 페이지 / 전적]

전한(前漢) 선제(宣帝)가 기린각(麒麟閣)을 짓고 十一인의 공신 상(像)을 그려 각상(閣上)에 걸었음.

도생(圖生)[견월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살아 나가기를 꾀함.

도생(圖生)[견월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살아 나가기를 꾀함.

도서기(道書記)[심심가(尋心歌) 9 페이지 / 전적]

서기(書記)는 조선 시대에 둔, 육두비전에 속한 하공원. 도서기(道書記)는 각 도읍에 둔 서기를 가리키는 용어인 듯함.

도서기(道書記)[심심가(尋心歌) 9 페이지 / 전적]

서기(書記)는 조선 시대에 둔, 육두비전에 속한 하공원. 도서기(道書記)는 각 도읍에 둔 서기를 가리키는 용어인 듯함.

도서산지석조 단층송지점점(倒西山之夕照 但層松之漸漸)[사친가1(思親歌(一)) 9 페이지 / 전적]

‘서산에 넘어가는 석양 햇빛 비추고, 층층의 소나무만은 끊임없이 무성하다.’는 뜻.

도서역명(圖書易明)[자연천의설(自然天意說) 8 페이지 / 전적]

책과 그림이 밝게 바꾼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