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도연명(陶淵明)[몽유가(몽류가) 3 페이지 / 전적]

중국 동진의 시인(365~427). 이름은 잠(潛). 호는 오류선생(五柳先生). 연명은 자(字). 405년에 팽택현(彭澤縣)의 현령이 되었으나, 80여 일 뒤에 <귀거래사>를 남기고 관직에서 물러나 귀향하였음.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나라 이후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이라 불림. 시 외의 산문 작품에 <오류선생전>, <도화원기> 따위가 있음.

도연명(陶淵明)[농어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동진의 시인(365~427). 이름은 잠(潛). 호는 오류선생(五柳先生). 연명은 자(字). 405년에 팽택현(彭澤縣)의 현령이 되었으나, 80여 일 뒤에 <귀거래사>를 남기고 관직에서 물러나 귀향하였다.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나라 이후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이라 불린다. 시 외의 산문 작품에 <오류선생전>, <도화원기> 따위가 있다

도연명(陶淵明)[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동진시대의 시인. 팽택현(彭澤縣)의 현령이 되었으나, 남기고 관직에서 물러나 귀향하였다.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나라 이후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이라 부른다.

도연명(陶淵明)[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동진(東晋)시대 때의 시인으로 <귀거래사(歸去來辭)>로 유명하다.

도연명(陶淵明)[견월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동진시대의 시인(365-427). 이름은 잠(潛)이고, 호(號)는 오류선생(五柳先生). 연명은 자(字)이다. 405년에 팽택현(彭澤縣)의 현령이 되었으나, 관직에서 물러나 귀향하였다.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나라 이후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이라 부른다.

도연명(陶淵明)[만수가(만슈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동진시대 때의 시인(365~427). 이름은 잠(潛). 호는 오류선생(五柳先生). 연명은 자(字). 관직에서 물러나 귀향하여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나라 이후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이라 부름.

도연명(陶淵明)[조심가라 26 페이지 / 전적]

동진(東晋)의 자연시인 도잠(陶潛)으로 연명(淵明)은 자. 주좨주(州祭酒)로부터 시작하여 뒤에 팽택(彭澤)의 영(令)이 되었으나 80여일만에 「귀거래사(歸去來辭)」를 읊고 벼슬을 떠나 전원생활을 즐겼음.

도연명(陶淵明)[남여동락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자(字)는 연명(淵明) 이름 잠(潛). 문 앞에 버드나무 5 루를 심어 놓고 스스로 오류(五柳) 선생이라 칭하기도 하였음. 대표작으로 <귀거래사(歸去來辭)>가 있음.

도연명(陶淵明)[거창가 10 페이지 / 전적]

동진(東晋)의 자연시인 도잠(陶潛)으로 자는 연명(淵明).

도연명(陶淵明)[몽유가(몽류가) 3 페이지 / 전적]

중국 동진의 시인(365~427). 이름은 잠(潛). 호는 오류선생(五柳先生). 연명은 자(字). 405년에 팽택현(彭澤縣)의 현령이 되었으나, 80여 일 뒤에 <귀거래사>를 남기고 관직에서 물러나 귀향하였음.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나라 이후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이라 불림. 시 외의 산문 작품에 <오류선생전>, <도화원기> 따위가 있음.

도연명(陶淵明)[농어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동진의 시인(365~427). 이름은 잠(潛). 호는 오류선생(五柳先生). 연명은 자(字). 405년에 팽택현(彭澤縣)의 현령이 되었으나, 80여 일 뒤에 <귀거래사>를 남기고 관직에서 물러나 귀향하였다.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나라 이후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이라 불린다. 시 외의 산문 작품에 <오류선생전>, <도화원기> 따위가 있다

도연명(陶淵明)[견월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동진시대의 시인(365-427). 이름은 잠(潛)이고, 호(號)는 오류선생(五柳先生). 연명은 자(字)이다. 405년에 팽택현(彭澤縣)의 현령이 되었으나, 관직에서 물러나 귀향하였다.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나라 이후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이라 부른다.

도연명(陶淵明)[만수가(만슈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동진시대 때의 시인(365~427). 이름은 잠(潛). 호는 오류선생(五柳先生). 연명은 자(字). 관직에서 물러나 귀향하여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나라 이후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이라 부름.

도연명(陶淵明)[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동진시대의 시인. 팽택현(彭澤縣)의 현령이 되었으나, 남기고 관직에서 물러나 귀향하였다.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나라 이후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이라 부른다.

도연명(陶淵明)[조심가라 26 페이지 / 전적]

동진(東晋)의 자연시인 도잠(陶潛)으로 연명(淵明)은 자. 주좨주(州祭酒)로부터 시작하여 뒤에 팽택(彭澤)의 영(令)이 되었으나 80여일만에 「귀거래사(歸去來辭)」를 읊고 벼슬을 떠나 전원생활을 즐겼음.

도연명(陶淵明)[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동진(東晋)시대 때의 시인으로 <귀거래사(歸去來辭)>로 유명하다.

도연명(陶淵明)[화조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동진(東晋)의 시인. 자는 원량(元亮). 유송(劉宋)에 들어가 이름을 잠(潜)으로 고쳤다. 일설에는 이름은 잠(潜), 자는 연명(淵明)이라고도 함.

도연명(陶淵明)[춘분유산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365-427)본명은 도잠(陶潛). 자는 원량(元亮), 연명(淵明). 중국 동진 때의 시인. 귀거래사(歸去來辭), 도화원기(桃花源記)가 대표작이다.

도연명(陶淵明)[춘화추동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365-427)본명은 도잠(陶潛). 자는 원량(元亮), 연명(淵明). 중국 동진 때의 시인. 귀거래사(歸去來辭), 도화원기(桃花源記)가 대표작이다.

도연명(陶淵明)[한별곡 14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동진 때의 대표적인 은거시인. 송나라 때에 잠(潛)으로 이름을 고쳤음. 벼슬과 출세를 거부하고 스스로 오류선생으로 불러 생활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