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마두나찰(馬頭羅刹)[제삼별회심곡(第三別囬心曲) 8 페이지 / 전적]
몸은 사람의 몸이고, 머리는 말의 머리인 저승의 옥졸.
마두나찰(馬頭羅刹)[천지지분이라(천디디분이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불교에서 말하는 말머리 모양을 한 악귀의 한 가지.
마두영화(馬頭榮華)[화전가1 17 페이지 / 전적]
강태공이 10년 동안 낚시질만 하다가 하루아침에 문왕(文王)을 만나 3일 만에 벼슬을 얻어 말을 타고 귀한 신분이 되어 고향에 돌아온 모습을 그린 고사에서 나온 말.
마두영화(馬頭榮華)[화전가2 17 페이지 / 전적]
강태공이 10년 동안 낚시질만 하다가 하루아침에 문왕(文王)을 만나 3일 만에 벼슬을 얻어말을 타고 귀한 신분이 되어 고향에 돌아온 모습을 그린 고사에서 나온 말.
마땅히[효행가(孝行歌) 4 페이지 / 전적]
마땅히
마라서라[소동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마자꾸나. 하지 말자.
마려(馬呂)[송강집(松江集六)6 26 페이지 / 전적]
사마광(司馬光)과 여공저(呂公箸)임
마련(磨鍊)[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7 페이지 / 전적]
헤아려서 갖춤, 혹은 일이나 물건을 마름질하여 계획을 세움.
마련(磨鍊)[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1 페이지 / 전적]
헤아려서 갖춤, 혹은 일이나 물건을 마름질하여 계획을 세움.
마련(磨鍊)[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3 페이지 / 전적]
헤아려서 갖춤.
마련(磨鍊)[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7 페이지 / 전적]
헤아려서 갖춤, 혹은 일이나 물건을 마름질하여 계획을 세움.
마련(磨鍊)[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1 페이지 / 전적]
헤아려서 갖춤, 혹은 일이나 물건을 마름질하여 계획을 세움.
마련(磨鍊)[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3 페이지 / 전적]
헤아려서 갖춤.
마로전의 침밧기와[효봉구고치산가 19 페이지 / 전적]
마루에다 침 뱉기와.
마르건[복션화음록 20 페이지 / 전적]
마루건너.
마르재다[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1 페이지 / 전적]
마르다. 옷감이나 재목 등을 치수에 맞추어 베거나 자르다.
마른자리[사친가2(思親歌(二)) 2 페이지 / 전적]
축축하지 않은 온전한 자리.
마름[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15 페이지 / 전적]
지주를 대리하여 소작권을 관리하는 사람.
마름쇠(菱鐵)[백세보중(百世葆重 二-一)2-1 12 페이지 / 전적]
적군을 막는데 쓰인 끝이 날카롭고 몇 갈래가 지도록 마름 모양의 무쇠로 만든 물건.
마명 보살(馬鳴菩薩)[권왕가 55 페이지 / 전적]
마명(馬鳴)을 존대하여 이르는 말. 마명(馬鳴) ; 아슈바고샤의 한자식 이름. 고대 인도의 불교 시인. 초기의 대승불교의 학자로 불교를 소재로 한 산스크리트의 미문체 문학을 창작하여 인도 문학사상 불후의 업적을 남긴 사람. 용수 보살(龍樹菩薩) : 용수(龍樹)를 존대하여 이르는 말. 용수(龍樹) : 나가르주나의 한자식 이름. 남인도의 불교가(佛敎家). 중관학파(中觀學派)의 개조(開祖)로서, 공(空)의 사상을 기초로 하여 대승불교(大乘佛敎)를 선양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