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래자길아(來者吉我)[정도선림하정씨가(正道仙林下鄭氏歌) 1 페이지 / 전적]

오는 것은 길(吉)이라.

럼이증(症)은[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8 페이지 / 전적]

어지럼증.

럼이증(症)은[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8 페이지 / 전적]

어지럼증.

럼이증(症)은[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6 페이지 / 전적]

어지럼증.

려외(慮外)[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22 페이지 / 전적]

의외, 뜻밖.

련중(憐重)하니[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23 페이지 / 전적]

사랑스럽고 귀중하니.

련쳘업사[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33 페이지 / 전적]

연철(緣綴)없이.

렴쳔유월[상사곡가사(상곡가사) 7 페이지 / 전적]

염천유월(炎天六月). 무더운 유월.

로령신(路靈神)[금강산유람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길 가에 서 있는 영신(靈神). 영신(靈神)은 영검이 있는 신을 뜻함.

록전(鹿前)면[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8 페이지 / 전적]

산기슭 앞에 있으면. 록(鹿)은 산기슭이라는 말.

록전(鹿前)면[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8 페이지 / 전적]

산기슭 앞에 있으면. 록(鹿)은 산기슭이라는 말.

록전(鹿前)면[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6 페이지 / 전적]

산기슭 앞에 있으면. 록(鹿)은 산기슭이라는 말.

롱거며[상사곡가사(상곡가사) 11 페이지 / 전적]

농거(弄去)하며. 놀러 다니며.

롱론고[상사곡가사(상곡가사) 11 페이지 / 전적]

농래(弄來)런가. 놀러 오는가.

뢰급만방(賴及萬方)[창덕가2 57 페이지 / 전적]

믿고 의지함이 온 구석구석에까지 미침.

뢰급만방(賴及萬方)[창덕가2 58 페이지 / 전적]

믿고 의지함이 온 구석구석에까지 미침.

룡방회안(竜方回案)[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20 페이지 / 전적]

좌청룡이 길어서 안산이 됨.

류서애(柳西崖)[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2 페이지 / 전적]

조선왕조 선조(宣祖) 때의 명상(名相)인 유성룡(柳成龍, 1542~1607). 서애는 그의 호.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임진왜란 때에 도체찰사(都體察使)·영의정으로서 중국 명(明)나라 장군들과 같이 국난을 처리하였음. 전란 후 북인(北人)의 탄핵을 받고 조용히 벼슬에서 물러났으며, 도학(道學)·문장(文章)·덕행(德行)·글씨로 이름을 떨쳤음. 저서에 『징비록(懲毖錄)』·『문집(文集)』·신종록(愼終錄)』 등이 있음. 시호는 문충(文忠).

류전금[석천집(石川集二-二)2-2 83 페이지 / 전적]

노나라 대부인데, 이름은 획(獲)이고, 자는 계(季)다. 유하(柳下)에 살았으므로 사람들이 유하혜(柳下惠)라고 불렀다.

륜기(輪氣)[창덕가2 73 페이지 / 전적]

수레바퀴처럼 돌고 도는 기운.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