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마제석(馬蹄石)[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4 페이지 / 전적]

말에서 내릴 때 딛고 내리는 돌.

마지(摩旨)[회심곡 4 페이지 / 두루마리]

마짓밥. 부처에게 올리는 밥.

마지어다[나부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끝내다.

마진(痲震)[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3 페이지 / 전적]

궁예가 세운 나라 이름. 911년에 태봉(泰封)으로 고쳤다.

마차행렬(馬車行列)[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5 페이지 / 두루마리]

마차가 늘어서 있는 모습.

마차행렬(馬車行列)[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5 페이지 / 두루마리]

마차가 늘어서 있는 모습.

마천(馬遷)[녁대가(녁가) 46 페이지 / 전적]

중국 전한(前漢)의 역사가. 자는 자장(子長). 기원전 104년에 공손경(公孫卿)과 함께 태초력(太初曆)을 제정하여 후세 역법의 기초를 세웠으며, 역사책 『사기』를 완성하였음.

마천(馬遷)[녁대가(녁가) 48 페이지 / 전적]

중국 전한(前漢)의 역사가. 자는 자장(子長). 기원전 104년에 공손경(公孫卿)과 함께 태초력(太初曆)을 제정하여 후세 역법의 기초를 세웠으며, 역사책 『사기』를 완성하였음.

마천령(摩天嶺)[북쳔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함경남도 단천군과 함경북도 학성군 경계에 있는 고개.

마천령(摩天嶺)[북쳔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함경남도 단천군 광천면과 함경북도 학성군 학남면 사이의 도계(道界)에 있는 고개.

마천령(摩天嶺)[반졀퓨리 3 페이지 / 전적]

함경남도 단천시 용덕리(룡덕리, 龍德里)와 함경북도 김책시 장현동 경계에 있는 고개.

마치기는[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42 페이지 / 전적]

끝내게 하는.

마침내 공근(孔僅)1[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69 페이지 / 전적]

「孔僅」- 漢 南陽人인데, 武帝때에 大農丞이 되어 東郭咸陽과더불어 鹽錢事를 管領하여 天下로 하여금 器具를 鑄作게하 하였다.그래서 三年中에 大司農에 이르러 九卿에 列했다.

마침내 중화(重華)[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63 페이지 / 전적]

「重華」- 舜의 別名임.書經 舜典에 「曰若稽古 帝舜曰中華」라 하였음.

마탄(馬灘)[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4 페이지 / 두루마리]

대동강 여울. 마탄춘장(馬灘春張)은 평양 팔경의 하나.

마탄(馬灘)[추풍감곡(秋風感曲) 5 페이지 / 전적]

대동강 여울. 마탄춘장(馬灘春張)은 평양 팔경의 하나.

마탄(馬灘)[차운 8 페이지 / 전적]

대동강이 흘러 내려 평양성의 동북부 지점을 지날 때의 명칭으로, 백은탄(白銀灘)의 약간 상류임.

마포(麻布)[사친가2(思親歌(二)) 2 페이지 / 전적]

삼베. 무명 : 무명실로 짠 피륙. 물레질 : 물레를 돌리고 고치나 솜에서 실을 뽑아내는 것. 또는, 그 일.

마품왕(麻品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5 페이지 / 전적]

가락국의 제3대 왕(?~291)으로 성은 김(金)이다.

마피(馬皮)[심심가(尋心歌) 16 페이지 / 전적]

말가죽.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