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마음[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38 페이지 / 전적]
「色擧」―色은 놀래는 모양임. 哀公六年條의 公羊傳에「色然而駭」라 했음. 論語鄕黨篇에「色斯擧矣 翔而後集」이란 대문이 보임.
마음 깨끗이 하여 욕심 막는데[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47 페이지 / 전적]
청심질욕(淸心窒慾)을 이름. 청심과욕(淸心寡慾)의 유사어.
마음 심(心)자[셩경가 9 페이지 / 전적]
마음을 뜻하는 글자 심(心)을 가리킴.
마음 심(心)자[셩경가 9 페이지 / 전적]
마음을 뜻하는 글자 심(心)을 가리킴.
마음 편한 게 효자(孝子)[팔도안희가 16 페이지 / 전적]
마음가짐은……하고[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85 페이지 / 전적]
박옥(璞玉)은 정련(精鍊)하지 않은 옥돌.《韓非子 和氏 第十三》에‘초 (楚) 나라 변화 (卞和)가 세 차례나 형벌을 받아가면서까지 왕에게 박옥을 바친 일이있다.‘하였는데 여기서는 나라를 위하는 고봉의 마음이 그와 같다는 뜻.
마음으로 성탕(成湯)의 자책지도(自責之道)[백세보중(百世葆重 二-一)2-1 6 페이지 / 전적]
성탕(成湯)은 상(商, 뒤에 은(殷)으로 고침)나라를 세운 임금. 하(夏)나라의 임금 걸왕(桀王)이 무도함에 이를 내쫒고 천하를 차지하여 나라이름을 상(商)이라 하였다. 자책지도란 성탕이 가뭄이 계속되자 삼림(森林)에서 비를 빌며 자신이 정사를 잘못했다는 여섯 가지 일을 스스로 책하여 말했다는 데서 유래된 말임.
마의태자(麻衣太子)[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4 페이지 / 전적]
신라 경순왕의 태자(?~?)로 경순왕 9년(935)에 신라가 고려에 항복하자 이에 반대하여 금강산으로 들어가 마의(麻衣)를 입고 풀뿌리와 나무껍질을 먹으면서 여생을 보냈다고 한다.
마인귀인(馬人貴人)[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3 페이지 / 전적]
신분이 귀한 사람. 마인(馬人)은 武人으로 지체가 높은 사람을 가리키는 것 같다.
마인귀인(馬人貴人)[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3 페이지 / 전적]
신분이 귀한 사람. 마인(馬人)은 武人으로 지체가 높은 사람을 가리키는 것 같다.
마인귀인(馬人貴人)[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1 페이지 / 전적]
신분이 귀한 사람. 마인(馬人)은 武人으로 지체가 높은 사람을 가리키는 것 같다.
마장[백세보중(百世葆重 一)1 19 페이지 / 전적]
① 10리가 미처 못되는 거리를 나타내는 말, ② 말 목장. 여기서는 ①의 뜻으로 쓰인 듯 하다.
마장[백세보중(百世葆重 一)1 31 페이지 / 전적]
① 10리가 미처 못되는 거리를 나타내는 말, ② 말 목장. 여기서는 ①의 뜻으로 쓰인 듯 하다.
마장(魔障)[셩경가 5 페이지 / 전적]
일에 마가 생기는 일. 불도 수행에 방해가 되는 일.
마장(魔障)[셩경가 5 페이지 / 전적]
일에 마가 생기는 일. 불도 수행에 방해가 되는 일.
마저성침(摩杵成針)[거창가라 27 페이지 / 전적]
공이를 갈아서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인내심을 갖고 꾸준히 노력해야 함을 뜻한다.
마저성침(摩杵成針)[백운처사경독가라(운처사경독가라) 2 페이지 / 전적]
공이를 갈아서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인내심을 갖고 꾸준히 노력해야 함을 뜻한다.
마전[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11 페이지 / 전적]
생필륙을 삶거나 빨아서 바래는 일.
마전[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1 페이지 / 전적]
생피륙을 삶거나 빨아서 바래는 일.
마전[나부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생피륙을 삶거나 빨아 볕에 바래는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