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륜기(輪氣)[창덕가2 74 페이지 / 전적]

수레바퀴처럼 돌고 도는 기운.

률두일[상사곡가사(상곡가사) 7 페이지 / 전적]

유두일(流頭日)에. 유둣날에. 음력 6월 보름날의 명절을 일컽는 말. 유둣날에 동쪽으로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으면 좋지 못한 일을 떨어버린다고 하는 민속이 있다.

리리離離[ 1 페이지 / ]

해가 길게 뻗친 모양.

리마두(利瑪竇)[지리산이수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마테오리치[Matteo Ricci, 1552.10.6~1610.5.11] 이탈리아의 예수회 선교사로 중국에 최초로 선교한 인물.중국에서 전교하기 위해서 서양의 학술을 중국어로 번역하였고, 또 저서인《천주실의》는 한국의 천주교 성립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침.

린린[석천집(石川集二-五)2-5 86 페이지 / 전적]

물이 돌에 부딪치는 모양

린이친천(隣里親戚)[숙덕부인도덕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린이친천’은 인리친척(隣里親戚)의 오기인 듯함.

림하도선정씨왕(林下道仙鄭氏王)[길자가(吉字歌) 3 페이지 / 전적]

수풀 아래 도선 정씨왕.

림하도선정씨왕(林下道仙鄭氏王)[정도선림하정씨가(正道仙林下鄭氏歌) 1 페이지 / 전적]

수풀 아래 도선 정씨왕.

마경(馬卿)[송강집(松江集二)2 75 페이지 / 전적]

사마장경(司馬長卿)은 한대(漢代)의 문장가인데 일찌기 소갈병(消渴病) 이 있었음.

마고(麻姑)[츅친서라 7 페이지 / 전적]

중국(中國)의 선녀(仙女)의 이름. 한(漢)나라 환제(桓帝) 때에 고여산(姑餘山)에서 수도하였는데, 길고 새 발톱처럼 생긴 손톱으로 가려운 데를 긁어 주면 한없이 유쾌하였다 함. 우리 토속신앙에서는 마고할매로 부름.

마고(麻姑)[상사진정몽가(相思陳情夢歌) 1 페이지 / 전적]

마고할미의 준말. 전설상의 신선 할미로서, 새 발톱처럼 긴 손톱을 가지고 있었다 한다. 마고소양(麻姑搔痒)이라 하면 그 손톱으로 가려운 데를 긁는다는 뜻으로, 일이 뜻대로 잘됨을 이름.

마고(麻姑)[환무자탄가 26 페이지 / 전적]

전설에 나오는 신선 할미.

마고(麻姑)[대호지로가(호지로가) 13 페이지 / 전적]

①중국(中國)의 옛적 선녀(仙女)의 이름 한(漢)나라 환제(桓帝) 때에 고여산(姑餘山)에서 수도했는데, 길고 새 발톱처럼 생긴 손톱으로 가려운 데를 긁어 주면 한없이 유쾌(愉快)하였다 함 ②마고할미.

마고(麻姑)[대호지로가(호지로가) 13 페이지 / 전적]

①중국(中國)의 옛적 선녀(仙女)의 이름 한(漢)나라 환제(桓帝) 때에 고여산(姑餘山)에서 수도했는데, 길고 새 발톱처럼 생긴 손톱으로 가려운 데를 긁어 주면 한없이 유쾌(愉快)하였다 함 ②마고할미.

마고(麻姑)[대호지로가(호지로가) 13 페이지 / 전적]

①중국(中國)의 옛적 선녀(仙女)의 이름 한(漢)나라 환제(桓帝) 때에 고여산(姑餘山)에서 수도했는데, 길고 새 발톱처럼 생긴 손톱으로 가려운 데를 긁어 주면 한없이 유쾌(愉快)하였다 함 ②마고할미.

마고(麻姑)[대호지로가(호지로가) 13 페이지 / 전적]

①중국(中國)의 옛적 선녀(仙女)의 이름 한(漢)나라 환제(桓帝) 때에 고여산(姑餘山)에서 수도했는데, 길고 새 발톱처럼 생긴 손톱으로 가려운 데를 긁어 주면 한없이 유쾌(愉快)하였다 함 ②마고할미.

마고(麻姑)[오황불이 2 페이지 / 전적]

①중국(中國)의 옛적 선녀(仙女)의 이름 한(漢)나라 환제(桓帝) 때에 고여산(姑餘山)에서 수도했는데, 길고 새 발톱처럼 생긴 손톱으로 가려운 데를 긁어 주면 한없이 유쾌(愉快)하였다 함 ②마고할미.

마고(麻姑)할미[백발가(白髮歌) 2 페이지 / 전적]

전설에 나오는 신선 할미. 새의 발톱같이 긴 손톱을 가지고 있음.

마고(麻姑)할미[백발가(白髮歌) 4 페이지 / 전적]

전설에 나오는 신선 할미. 새의 발톱같이 긴 손톱을 가지고 있음.

마고(麻姑)할미[로인가 3 페이지 / 전적]

전설에 나오는 신선 할미. 새의 발톱같이 긴 손톱을 가지고 있다고 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