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알치며 닥을쳐서[복션화음록 11 페이지 / 전적]

개를 치고 닭을 쳐서. 개를 기르고 닭을 길러서.

[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14 페이지 / 전적]

개개인.

히[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24 페이지 / 전적]

개개(箇箇)이. 사람마다. 한 사람 한 사람이.

[셕별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가상가상(嘉尙嘉尙). 가상하고 가상하게.

라[앤여가(여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계산해라.

어미[복션화음록 19 페이지 / 전적]

개똥어미. 이야기를 이끌어 가기 위한 허구적 인물이다.

사쳥쳥[용문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객사청청(客舍靑靑). 王維의 <送元二使安西詩>에 渭城朝雨浥輕塵 客舍靑靑柳色新이라는 곳에서 나온 말이다.

려서라[소동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내려서라. 낮추어 서라. 겸손하게 처신하라는 의미인 것 같다.

리온다[ 1 페이지 / ]

내려오느냐. ‘ ㄴ 다‘는 의문 종결어미로 쓰인 표기이다.

지마아[소동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나오게 하지 마라. 보이지마라.

란엇게예[ 1 페이지 / ]

날랜 어깨에.‘날랜다‘는 나는 듯이 빠르다의 뜻이다.

새[ 1 페이지 / ]

날아다니는 새(조鳥)

애[ 1 페이지 / ]

날개. 새의 날개(익翼)

즘승 긜즘승[ 1 페이지 / ]

날아다니는 짐승과 기어다니는 짐승. 여기서는 날고 기어 다니는 모든 짐승을 가리킨다.

여되고[상사곡가사(상곡가사) 3 페이지 / 전적]

남녀(男女)되고.

자을[상사곡가사(상곡가사) 3 페이지 / 전적]

남자생(男子生)을. 남자의 삶을.

계는[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4 페이지 / 전적]

내게는. 나에게는.

귀령[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22 페이지 / 전적]

내 귀녕(歸寧). 내가 친정에 돌아가는 일.

긔말[앤여가(여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내게 한말. 내게 한마디 말.

길을[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25 페이지 / 전적]

내 길을. 내가 올 길을.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