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힐난(詰難)[아림가(娥林歌) 37 페이지 / 전적]
트집을 잡아 거북할 만큼 따지고 듦.
힐문(詰問)[노처녀가1(老處女歌 (一)) 4 페이지 / 전적]
트집을 잡아 따져 묻는 것.
힐지항지(頡之頏之)[셔유곡 12 페이지 / 전적]
새가 날면서 오르락 내리락함.
힐항(頡頏)[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58 페이지 / 전적]
「頡頏」― 새가 날아 오르락 내리락하는 것을이름. 詩經 邶風燕燕에 「燕燕于飛 頡之頏之」란 句가 있는데 傳에 「飛而上曰頡 飛而下曰頏」이라 하였음.
힘겨웠거든[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06 페이지 / 전적]
「披猖」-披猖과 같은 말임. 集韻에 「披猖은 飛颺의 뜻이다」
탄심사(慨歎心思)[회경가 5 페이지 / 전적]
개탄심사, 괴로워 한탄스러워하는 마음
힌줄을[ 1 페이지 / ]
가을인 줄을. ‘‘ 가을(추秋)
촉[용문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개자추(介子推). 춘추시대에 진(晉)나라 사람이다. 진문공(晉文公)이 망명했을 때 19년을 모시다가 환국하여 임금이 되었을 때 벼슬에 누락되자, 어머니와 함께 면산(綿山)에 숨어살았다. 나중에 진문공이 그것을 알고 그를 찾았으나, 나오지 않자, 그를 나오게 할 마음으로 산에 불을 질렀다. 그러나 그는 산에서 나오지 않고 나무를 끌어 않고 죽었다. 이에 그날을 불을 쓰지 말도록 한데서 생긴 명절이다. 이때에 조상에 제사를 지내고 묘를 살피는 풍습이 생겼다.
시고[ 1 페이지 / ]
갖추어 있구나.
힐엄문[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4 페이지 / 전적]
가리려면. 구별하려면.
힐엄문[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4 페이지 / 전적]
가리려면. 구별하려면.
힐엄문[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2 페이지 / 전적]
가리려면. 구별하려면.
득 시한[ 1 페이지 / ]
가뜩이나 근심이 많은데.
득 담[ 1 페이지 / ]
가뜩이나 냉랭하고 담담한데.
쉰이[ 1 페이지 / ]
갓 쉰이. 이제 막 50세가
촌애[앤여가(여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변두리 시골에. ‘가’는 변두리라는 말이고, ‘촌’은 촌(村)이다.
강[상사곡가사(상곡가사) 3 페이지 / 전적]
개강(開腔). 허공을 열었다. ‘강(腔)’은 텅 빈 속을 뜻하는 말로 공중(空中), 즉 하늘을 뜻하는 말임.
달기들[복션화음록 8 페이지 / 전적]
개 닭을. 개와 닭을.
벽젼[상사곡이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개벽전(開闢前). 천지가 처음으로 열림.
벽후[상사곡가사(상곡가사) 3 페이지 / 전적]
개벽후(開闢後)에. 천지가 처음으로 생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