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할방[별교사(별교) 4 페이지 / 두루마리]

할아버지의 방언(경남)

할부(割賦)[사친가2(思親歌(二)) 13 페이지 / 전적]

나누어 몫을 짓는 것.

할부정(割不正) 불식(不食)하고[팔도안희가 18 페이지 / 전적]

논어(論語)

할부정(割不正)을 불식(不食)하며[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67 페이지 / 전적]

바르게 자르지 않으면 먹지 않음.

할석분좌(割席分坐)[명륜가(明倫歌) 102 페이지 / 전적]

‘자리를 잘라서 앉은 곳을 나눈다’는 뜻으로, ‘친구와 절교하는 것’을 비유하는 고사성어. 한(漢)나라 말기의 관영(管寗)과 화흠(華歆)의 고사에서 유래함.

할석분좌(割席分坐)[오윤가 29 페이지 / 전적]

자리를 갈라서 따로 앉는다는 뜻으로, 교제를 끊고 같은 자리에 앉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할임[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13 페이지 / 전적]

이할임을 뜻함.

함(函)[사친가2(思親歌(二)) 7 페이지 / 전적]

옷이나 물건 따위를 넣을 수 있도록 네모지게 만든 통. 또는 혼인 때 신랑 측에서 채단(采緞)과 혼서지(婚書紙)를 넣어서 신부 측에 보내는 나무 궤짝.

함곡관(函谷關)[조심가라 27 페이지 / 전적]

노자가 난세(亂世)를 피하여 가다가, 관의 영(令) 윤희(尹喜)가 도(道)를 구하니, 도덕 오천언(道德五千言), 곧 『노자 도덕경(老子道德經)』을 지어 주었다고 하는 곳.

함곡관(函谷關)[조심가라 27 페이지 / 전적]

노자가 난세(亂世)를 피하여 가다가, 관의 영(令) 윤희(尹喜)가 도(道)를 구하니, 도덕 오천언(道德五千言), 곧 『노자 도덕경(老子道德經)』을 지어 주었다고 하는 곳.

함곡관(函谷關)[녁대가(녁가) 34 페이지 / 전적]

중국 허난성(河南省) 북서부에 있어 동쪽의 중원(中原)으로부터 서쪽의 관중(關中

함구(緘口)[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9 페이지 / 두루마리]

입을 다물어 말하지 않음.

함구(緘口)[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9 페이지 / 두루마리]

입을 다물어 말하지 않음.

함께[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50 페이지 / 전적]

「盍簪」―서로 만나는 것이 빠르다는 뜻임. 易豫에「朋盍簪」이라 했는데 註에「盍은 合과 같고 簪은 疾의 뜻이다」했고 䟽에는 「羣朋이 合聚하여 빨리오는 것이다」라 했음. 그래서 後人이 이를 들어 友朋의 集合을 이름.

함니작소(含泥作巢)[구쟉가 12 페이지 / 전적]

진흙을 물어 집을 짓다.

함닉생령(陷溺生靈)[가사소리 6 페이지 / 전적]

함정에 빠지고 물에 빠진 백성들.

함락(陷落)[자탄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적의 성, 요새, 진지 등을 공격하여 무너뜨림.

함로(啣蘆)[ 1 페이지 / ]

갈대를 입에 무는 것. 기러기는 강남에 먹이가 풍부하여 하북河北으로 돌아갈 즈음 살이 쪄서 높이 날지 못하므로, 사람에게 잡힐까 두려워 매양 입에 갈대를 물고 주살을 피한다고 함.

함롱(函籠)[비틀노래 1 페이지 / 두루마리]

함과 농을 아울러 이르는 말로 두 개의 함이 한 쌍으로 포개지도록 된 가구.

함루(含淚)[츄억감 1 페이지 / 두루마리]

눈물을 머금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