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한정(閑靜)[셩경가 8 페이지 / 전적]

오래도록 한가하고 평안함.

한정(閑靜)[셩경가 8 페이지 / 전적]

오래도록 한가하고 평안함.

한정(閒情)[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61 페이지 / 전적]

「閒情賦」-晋處士 陶淵明이 罷官하고 돌아와 閒情賦를 지었음여기는 奇上舍가 陶淵明과 같은 살이를 한다는 말로 쓴 것임.

한정(限定)[벽천가 46 페이지 / 전적]

수량이나 범위 등을 제한하여 정함.

한조당종(漢朝唐宗)[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11 페이지 / 전적]

한나라와 당나라 조정과 왕실.

한조당종(漢朝唐宗)[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11 페이지 / 전적]

한나라와 당나라 조정과 왕실.

한종寒鐘[ 1 페이지 / ]

처량한 종소리. 힘없는 종소리.

한종실(漢宗室)[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한나라의 왕실.

한종실(漢宗室)[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한나라의 왕실.

한주(寒廚)[합강정가(合江亭歌) 10 페이지 / 전적]

찬 부엌.

한주(翰注)[송강집(松江集七)7 135 페이지 / 전적]

한립(翰林)과 주서(注書)

한준겸(韓浚謙)[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18 페이지 / 전적]

조선 중기의 문신(1557~1627). 자는 익지(益之). 호는 유천(柳川). 광해군 때 오도(五道) 도원수로 북방 수비에 힘썼으며, 인조반정으로 딸이 왕후가 되어 서원 부원군(西原府院君)이 되었음.

한중(漢中)[우미인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한나라의 진영(陣營).

한중(漢中)[우미인가라 3 페이지 / 전적]

한나라의 진영(陣營).

한중(漢中)[우미인가라 3 페이지 / 전적]

한나라의 진영(陣營).

한중(閑中)이요[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12 페이지 / 전적]

한가하게 있고.

한중(閒中)[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59 페이지 / 전적]

「閒中日月」― 朱子의 邵康節畫像贊에「閒中日月 靜裏乾坤」의句가 있음.

한짐[거창가라 21 페이지 / 전적]

한 짐은

한찬남(韓纘男)[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28 페이지 / 전적]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1613년 부응교로 있으면서 영창대군을 처벌할 것을 주장하였고, 1616년에는 해주옥사를 일으켜 소북파 제거에 앞장섰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주살되었다.

한창(寒窓)[추월감 9 페이지 / 두루마리]

객지(客地)와 같은 뜻으로 자기 집을 멀리 떠나 임시로 있는 곳.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