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함포고복(含哺鼓腹)[조심가라 8 페이지 / 전적]

배불리 먹고 배를 두드림. 곧 태평한 세월을 이름.

함포고복(含哺鼓腹)[로인가 15 페이지 / 전적]

잔뜩 먹고 배를 두드린다는 뜻으로, 먹을 것이 풍족하여 즐겁게 지냄을 이르는 말.

함포고복(含哺鼓腹)[수연가(수년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잔뜩 먹고 배를 두드린다는 뜻으로 먹을 것이 풍족하여 즐겁게 지냄을 이르는 말.

함포고복(含哺鼓腹)[조심가라 8 페이지 / 전적]

배불리 먹고 배를 두드림. 곧 태평한 세월을 이름.

함포고복(含哺鼓腹)[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잔뜩 먹고 배를 두드린다는 뜻으로, 먹을 것이 풍족하여 즐겁게 지냄을 이르는 말.

함포고복(含哺鼓腹)[옥설가라 19 페이지 / 전적]

잔뜩 먹고 배를 두드린다는 뜻으로, 먹을 것이 풍족하여 즐겁게 지냄을 이르는 말.

함포고복(含哺鼓腹)[조선충효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잔뜩 먹고 배를 두드린다는 뜻으로, 먹을 것이 풍족하여 즐겁게 지냄을 이르는 말.

함포고복(含哺鼓腹)[거창가라 10 페이지 / 전적]

잔뜩 먹고 배를 두드린다는 뜻으로, 먹을 것이 풍족하여 즐겁게 지냄을 이르는 말.

함포고복(含哺鼓腹)[거창가라 27 페이지 / 전적]

잔뜩 먹고 배를 두드린다는 뜻으로 먹을 것이 풍족하여 즐겁게 지냄을 이르는 말.

함포고복(含哺鼓腹)[백운처사경독가라(운처사경독가라) 2 페이지 / 전적]

잔뜩 먹고 배를 두드린다는 뜻으로 먹을 것이 풍족하여 즐겁게 지냄을 이르는 말.

함포고복(含哺鼓腹)[용문가라 16 페이지 / 전적]

잔뜩 먹고 배를 두드린다는 뜻으로, 먹을 것이 풍족하여 즐겁게 지냄을 이르는 말.

함포고복(含哺鼓腹)[아림가(娥林歌) 10 페이지 / 전적]

잔뜩 먹고 배를 두드린다는 뜻으로, 먹을 것이 풍족하여 즐겁게 지냄을 이르는 말.

함포고복(含哺鼔腹)[경운가 25 페이지 / 전적]

배불리 먹고 배를 두드림. 곧 태평한 세월을 의미함.

함포고복(含哺鼔腹)[몽즁운동가 2 페이지 / 전적]

배불리 먹고 배를 두드림. 곧 태평한 세월을 의미함.

함함하고[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9 페이지 / 두루마리]

털이 보드랍고 반지르르 하고.

함함하고[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9 페이지 / 두루마리]

털이 보드랍고 반지르르 하고.

함휼하던 곳에[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68 페이지 / 전적]

부모가 안 계시어 늘 마음속으로 근심 걱정하는 것. 《詩經 小雅 蓼莪》 에 ‘나가면 근심 머금고 들어오면 의지할 곳 없다.〔出則銜恤 入則靡至〕‘라 하였음.

함흥[팔역가(八域歌) 9 페이지 / 전적]

함경남도 지명

함흥(咸興)[팔도안희가 3 페이지 / 전적]

함경남도 중남부에 있는 시. 조선 왕조 발상지이며, 교통 요충지이다. 명승지로 의릉, 정화릉, 귀주사, 진흥왕 순수비 따위가 있다. 함경남도의 도청 소재지이다.

함흥(咸興)[한양가라 10 페이지 / 전적]

함경남도에 있는 도시로 조선왕조의 발상지이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