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함루(含淚)[추월감 1 페이지 / 두루마리]

눈물을 머금음.

함루(含淚)[남매상별가라(남매별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눈물을 머금음.

함루(含淚)[잣치가라(치라) 40 페이지 / 전적]

눈물을 머금음.

함루(含淚)[벽천가 21 페이지 / 전적]

눈물을 머금음.

함매[백세보중(百世葆重 三)3 32 페이지 / 전적]

함매銜枚라고도 하는데 행군할 때 떠들지 못하도록 군사의 입에 하무를 물리는 일.

함몰(咸沒)[옥산가라 27 페이지 / 전적]

몰사(沒死). 모조리 다 죽음.

함몰(陷沒)[한양가라 61 페이지 / 전적]

물속이나 땅속에 빠짐. 곧 무너짐.

함보고복(含哺鼓腹)[추월감 7 페이지 / 두루마리]

잔뜩 먹고 배를 두드린다는 뜻으로, 먹을 것이 풍족하여 즐겁게 지냄을 이르는 말.

함분인통(含憤忍痛)[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4 페이지 / 전적]

마음속에 분노를 갖고 아픔을 견딤.

함분인통(含憤忍痛)[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4 페이지 / 전적]

마음속에 분노를 갖고 아픔을 견딤.

함분인통(含憤忍痛)[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4 페이지 / 전적]

마음속에 분노를 갖고 아픔을 견딤.

함성[팔역가(八域歌) 29 페이지 / 전적]

성이 왜놈에게 함락될 때

함수(含水)[벽천가 63 페이지 / 전적]

수분을 머금음. 여기서는 눈물을 머금음.

함수정의루두(含愁情依樓頭)[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95 페이지 / 전적]

시름 못 잊어 누 머리에 기대어라.

함씨(咸氏)[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74 페이지 / 전적]

상대편 조카를 높여 부르는 말.

함아[사절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미상. 새 이름인 듯 함

함양 박용득[충행단국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본관이 함양(咸陽)인 문중

함양(咸陽)[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27 페이지 / 전적]

오늘날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咸陽)[녁대가(녁가) 41 페이지 / 전적]

중국 산시성의 중부에 있는 도시. 전국시대 말기(B.C.350)에 진(秦)의 효공(孝公)이 천도하여 B.C.207년 멸망 때까지 진나라의 수도였음. 항우(項羽)가 진나라를 멸망시켰을 때 불에 탔는데 불길이 3개월 동안 꺼지지 않고 계속되었다고 함.

함양(涵養)[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33 페이지 / 전적]

「涵養」- 道德에 沈潜하고 內心을 修煉하며 矜躁를 경계하고嗜慾을 버리는 것을 이름.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