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039개

한묵(翰墨)[옥설가라 11 페이지 / 전적]

문한(文翰)과 필묵(筆墨)이라는 뜻으로, 글을 짓거나 쓰는 것을 이르는 말.

한문(寒門)[고분가 6 페이지 / 전적]

가난하고 문벌이 없는 집안.

한문(寒門)[고분가 6 페이지 / 전적]

가난하고 문벌이 없는 집안.

한문(捍門)[송강집(松江集二)2 153 페이지 / 전적]

수구(水口)에 있는 나성(羅星).

한문閒門[ 1 페이지 / ]

한가한 집안.

한문공(韓文公)[녁대가(녁가) 59 페이지 / 전적]

중국 당나라의 문인ㆍ정치가인 한유(韓愈, 768~824). 자는 퇴지(退之). 호는 창려(昌黎), 시호는 한문공(韓文公). 당송 팔대가의 한 사람으로, 변려문을 비판하고 고문(古文)을 주장하였음.

한문제(漢文帝)[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한나라 황제 문제를 가리킨다.

한문제(漢文帝)[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한나라 황제 문제를 가리킨다.

한문제(漢文帝)[아림가(娥林歌) 12 페이지 / 전적]

전한의 제5대 황제인 유항(劉恆, 기원전 202년~기원전 157년). 재위는 기원전 180년~기원전 157년.

한미(寒微)[고분가 3 페이지 / 전적]

가난하고 지체가 변변하지 못함.

한미(寒微)[고분가 3 페이지 / 전적]

가난하고 지체가 변변하지 못함.

한민(閒民)[타미계라(라미키라) 3 페이지 / 전적]

직업이 없는 백성.

한민(閒民)[타미계라(라미키라) 3 페이지 / 전적]

직업이 없는 백성.

한박[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35 페이지 / 전적]

「烏石實」 ― 莊子 逍遙遊에 「魏王貽我大瓠之種 我樹之成 而實五石 以盛水漿 其堅不能自擧也 剖之以爲瓢 則濩落無所容」이라하였음.

한밤중[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26 페이지 / 전적]

「夜半聲」― 鶴의 울음을 말함. 蘇軾의 後赤壁賦에「時夜將半四顧寂寥 適有孤鶴 橫江東來」라는 句가 있음.

한백휴(韓伯休)[석촌별곡 9 페이지 / 전적]

한강(韓康). 중국 동한 사람으로, 패릉산중(覇陵山中)에 은거하였다.

한범(韓范)[송강집(松江集六)6 10 페이지 / 전적]

송(宋)나라의 어진 재상 한기(韓琦)와 범중엄(范仲淹)을 이름.

한변 져지러노면[효봉구고치산가 14 페이지 / 전적]

한번 (잘못을)저질러 놓으면.

한분(恨憤)[시절가 8 페이지 / 전적]

한탄하고 분개함.

한빙지옥(寒?地獄)[자책가(가) 17 페이지 / 전적]

심한 추위로 온몸을 떨게 하는 지옥.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