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한빙지옥(寒氷地獄)[일회심곡(一回心曲) 8 페이지 / 전적]
매서운 추위가 가득찬 지옥.
한빙지옥(寒氷地獄)[서가여래가사라 11 페이지 / 두루마리]
쉴새없이 찬바람이 불어오고 동빙(凍氷)으로 고통을 겪는 지옥. 효도·우애·공경으로 면할 수 있다고 함.
한빙지옥(寒氷地獄)[서가여래가사라 11 페이지 / 두루마리]
쉴새없이 찬바람이 불어오고 동빙(凍氷)으로 고통을 겪는 지옥. 효도·우애·공경으로 면할 수 있다고 함.
한사 극간(限死極諫)[회심곡 11 페이지 / 두루마리]
죽기를 각오하고 잘못된 일이나 행동을 고치도록 힘을 다하여 말하는 것.
한사(漢使)[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33 페이지 / 전적]
「漢使槎」漢博望侯 張騫의 故事를 引用한 것임. 見上.
한사(限死)[경화가(警和歌) 7 페이지 / 전적]
죽기까지 한정함. 죽을 힘으로.
한사(限死)[경화가(警和歌) 7 페이지 / 전적]
죽기까지 한정함. 죽을 힘으로.
한사결단(限死決斷)[초원동낙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죽음을 무릅쓰고 결단함.
한사결단(限死決斷)[초원동낙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죽음을 무릅쓰고 결단함.
한사군(漢四郡)[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6 페이지 / 전적]
기원전 108년에 중국 전한(前漢)의 무제가 위만 조선을 멸망시키고 그 땅에 설치한 네 개의 행정 구역. 낙랑군, 임둔군, 현도군, 진번군을 이르는데, 뒤에 고구려에 병합됨.
한사극간(限死極諫)[천지지분이라(천디디분이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죽기를 각오하고 임금에게 잘못된 일이나 행동을 고치도록 말을 함.
한산(寒山)[초암가 5 페이지 / 전적]
중국 당나라의 선승. 풍간(豊干)선사의 제자로 불교의 철학 이론에 두루 통하여 문수보살의 화신(化身)이라 일컬어짐.
한산대첩(閑山大捷)[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7 페이지 / 전적]
조선 선조 25년(1592)에 한산도 앞바다에서 이순신 장군이 왜군과 싸워 크게 이긴 일. 임란 삼대첩의 하나로, 일본의 함선 47척을 격침하고 12척을 나포하였다.
한산모종(寒山暮鐘)[소상팔경가 30 페이지 / 전적]
저물녘 한산사의 종소리.
한산사(寒山寺)[팔도안희가 10 페이지 / 전적]
현재 경남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에 있는 사찰로 정확한 창건시기를 알 수 없으며, 과거에 불탄 자리에 새로 세운 절이라 전한다. 고소성과 한산사에 대한 고사(故事)는 중국의 성당(盛唐) 때의 시인 장계(張繼)의 <풍교야박(楓橋夜泊)>에서 비롯되었다. “달 지고 까마귀 우니 하늘엔 서리 가득하고[月落烏啼霜滿天]/강가의 단풍은 고깃배의 등불에 시름겨워 잠못드네[江楓漁火對愁眠]/고소성 밖 한산사[姑蘇城外寒山寺]/한밤중 종소리 객선까지 들려오네[夜半鐘聲到客船]”
한산사(寒山寺)[유회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강소성(江蘇省) 소주(蘇州)에 있는 절.
한산사(寒山寺)[금강산유람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장쑤 성(江蘇省) 쑤저우 시(蘇州市) 교외의 펑챠오(楓橋鎭)에 있는 절. 당나라 장계(張繼)의 <풍교야박(楓橋夜泊)>의 시로 유명함.
한산사(寒山寺)[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30 페이지 / 전적]
중국 장쑤 성(江蘇省) 쑤저우 시(蘇州市) 교외의 펑챠오(楓橋鎭)에 있는 절. 당나라 장계(張繼)의 <풍교야박(楓橋夜泊)>의 시로 유명하다.
한산십득(寒山拾得)[초암가 4 페이지 / 전적]
한산(寒山)과 십득(拾得)은 둘 다 중국 당나라 시대의 선승(禪僧)임. 한산은 문수보살의 화현(化現)으로, 습득은 보현보살의 화현(化現)으로 알려져 있음.
한서(寒暑)[오륜가라 9 페이지 / 전적]
추위와 더위를 아울러 이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