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한서(寒暑)[오륜가라 6 페이지 / 전적]
추움과 더움.
한서(寒暑)[오륜가라 6 페이지 / 전적]
추움과 더움.
한서기갈(寒暑飢渴)[해몽가라(몽가라) 18 페이지 / 전적]
추위와 더위, 배고픔과 목마름.
한서명경(閑棲明經)[옥셜화답 9 페이지 / 전적]
한가로이 쉬면서 경전의 뜻을 밝힘.
한서오냉(寒暑汚冷)[복션화음록 10 페이지 / 전적]
추위, 더위, 더러움, 차가움.
한서온랭(寒暑溫冷)[삼강오륜가 서 6 페이지 / 전적]
추위와 더위. 또는 겨울과 여름. 그리고 따뜻함과 추움.
한서온량(寒暑溫?)[명륜가(明倫歌) 16 페이지 / 전적]
춥고 뜨겁고 따뜻하고 서늘함.
한서온량(寒暑溫凉)[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3 페이지 / 전적]
춥고 덥고 따뜻하고 서늘함.
한서풍우(寒暑風雨)[안심경찰가 3 페이지 / 전적]
바람과 비와 추위와 더위를 아울러 이르는 말.
한석봉(韓石峯)[환행가 14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시대 명필가. 도산서원(陶山書院)의 사액(賜額)은 1575년 한호의 글씨로 받았음.
한석봉(韓石峯)[환행가 14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시대 명필가. 도산서원(陶山書院)의 사액(賜額)은 1575년 한호의 글씨로 받았음.
한석봉(韓石峯)[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50 페이지 / 전적]
조선 선조 때의 명필가(1543~1605). 자는 경홍(景洪). 호는 석봉(石峯)ㆍ청사(淸沙). 왕희지와 안진경의 필법을 익혀 해서, 행서, 초서 따위의 각 체에 뛰어났다. 추사 김정희와 함께 조선 서예계의 쌍벽을 이루며, <석봉천자문(石峯千字文)>, <석봉서법(石峯書法)> 따위가 전한다.
한성[팔역가(八域歌) 43 페이지 / 전적]
수도의 후보지역
한성寒星[ 1 페이지 / ]
차가운 별. 별.
한성근(韓聖根)[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54 페이지 / 전적]
조선 고종 때의 무신(?~?)으로 1866년 병인양요 때 문수산성을 수비하여 공을 세우고, 신식 군대인 별기군을 훈련시키는 데 힘썼음.
한성부(漢城府) 판윤(判尹)[옥셜화답 13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한성부의 으뜸 벼슬로서 품계는 정이품.
한성좌윤(漢城左尹)[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2 페이지 / 전적]
한성부에 속한 종이품 벼슬.
한성판윤(漢城判尹)[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3 페이지 / 전적]
한성부의 으뜸인 정이품 벼슬.
한성판윤(漢城判尹)[로인가 12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둔, 한성부의 으뜸 벼슬. 정이품 벼슬로 부윤(府尹)을 고친 것임.
한세충(韓世忠)[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7 페이지 / 전적]
자는 양신(良臣)으로 남송 때 방랍의 난을 진압하고, 금에 대항한 명장. 한세충은 악비(岳飛)와 유기(劉錡) 등과 함께 금군의 침입을 막아 송조(宋朝)의 명맥을 유지하고 없어진 영토를 회복하려고 힘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