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한음(漢陰)선생(先生)[한흥가라 75 페이지 / 전적]
이덕형(李德馨). 본관 광주(廣州). 자 명보(明甫). 호 한음(漢陰) ·쌍송(雙松) ·포옹산인(抱雍散人). 시호 문익(文翼). 조선 중기의 문신. 호 한음. 남북인의 중간 노선을 지키다가 뒤에 남인에 가담했고 이항복과 절친한 사이로 기발한 장난을 잘하여 많은 일화를 남겼다. 주요저서로 문집 《한음문고》가 있다. 1592년 예조참판에 오르고 대제학을 겸임했다. 같은 해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중추부동지사(中樞府同知事)로서 일본 사신(玄蘇)과 화의를 교섭하
한음(漢陰)선생(先生)[한흥가라 75 페이지 / 전적]
이덕형(李德馨). 본관 광주(廣州). 자 명보(明甫). 호 한음(漢陰) ·쌍송(雙松) ·포옹산인(抱雍散人). 시호 문익(文翼). 조선 중기의 문신. 호 한음. 남북인의 중간 노선을 지키다가 뒤에 남인에 가담했고 이항복과 절친한 사이로 기발한 장난을 잘하여 많은 일화를 남겼다. 주요저서로 문집 《한음문고》가 있다. 1592년 예조참판에 오르고 대제학을 겸임했다. 같은 해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중추부동지사(中樞府同知事)로서 일본 사신(玄蘇)과 화의를 교섭하
한음선생(漢陰先生) 이덕형(李德馨)[한양가라 65 페이지 / 전적]
조선 선조 때 문신(1561-1613)으로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동지중추부사로서 일본의 사신 겐소(玄蘇)와 화의를 교섭하였으나 실패했다. 그후 선조를 정주(定州)까지 호종(扈從)하였다. 청원사(請援使)로 명나라에 파견되어 원병을 요청하여 성공을 거두었다.
한응인(韓應寅)[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27 페이지 / 전적]
조선 중기의 문신(1554~1614). 자는 춘경(春卿). 호는 백졸재(百拙齋)ㆍ유촌(柳村). 임진왜란 때 팔도 순찰사가 되어 공을 세워 호조 판서로 임명되었다. 뒤에 선조가 위독할 때 유교칠신의 한 사람으로 영창 대군의 보호를 부탁받았다가 광해군 때 계축옥사에 연루되어 관직을 삭탈당하였다.
한이(汗夷)[안심가 12 페이지 / 전적]
병자호란을 일으킨 청의 오랑캐.
한이부(韓吏部)[축산별곡 6 페이지 / 전적]
한유. 그가 이부시랑이었음.
한이비각(汗夷碑閣)[안심가 12 페이지 / 전적]
병자호란의 승전을 기념하여 청나라에서 삼전도에 세운 비각.
한인(漢人)[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70 페이지 / 전적]
「王覇政」- 鹽鐵의 議가 漢昭帝의 始元中에 일어났는데, 御史大夫 桑弘羊이 王覇의 政에 擬하였음.
한인(閑人)[석천집(石川集二-五)2-5 167 페이지 / 전적]
한객(閑客). 산인(散人). 한가한 사람.
한인물입(閑人勿入)[셔유곡 8 페이지 / 전적]
일 없는 사람은 들어오지 말라는 말.
한입골수(恨入骨髓)[자탄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원한이 뼈에 사무침.
한잇틔만 뫼서서도[위옥자회가라(위옥과회가라) 6 페이지 / 전적]
한 두 해만 모셨어도.
한자의……없습니다[고봉선생문집 권이(高峰先生文集 券二) 165 페이지 / 전적]
한자는 당(唐) 나라의 문장가인 한유(韓愈)를 말하며 유문(遺文)은 그가 남긴 문집을 말한다. 전모는「서경(書經)」의 요전(堯典) ,순전(舜典)과 대우모(大禹謨) ,고요모(皐陶謨) ,익직(益稷) 등의 편을 가리키는데, 뜻이 깊어 전아(典雅)한 글을 지칭하는 말로 쓰인다.
한잔[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26 페이지 / 전적]
「舟芥」莊子 逍遙遊에 「覆杯水於坳堂之上 則芥爲之舟 置杯焉則膠 水淺而舟大也」라 하였음.
한재(旱災)[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9 페이지 / 전적]
가뭄으로 인하여 생기는 재앙.
한재(旱災)[조심가라 9 페이지 / 전적]
가뭄으로 인하여 생기는 재앙.
한재(旱災)[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9 페이지 / 전적]
가뭄으로 인하여 생기는 재앙.
한재(旱災)[조심가라 9 페이지 / 전적]
가뭄으로 인하여 생기는 재앙.
한재풍재(旱災風災)[일회심곡(一回心曲) 9 페이지 / 전적]
가뭄과 바람으로 인한 재해.
한절(限節)[자직가(子職歌) 4 페이지 / 전적]
한 마디 혹은 한 구절씩 나눠서 한정(限定)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