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한식(寒食)[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우리나라 명절의 하나. 동지에서 105일째 되는 날로서 4월 5일이나 6일쯤이 되며, 민간에서는 조상의 산소를 찾아 제사를 지내고 사초(莎草)하는 등 묘를 돌아본다.
한식(寒食)[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우리나라 명절의 하나. 동지에서 105일째 되는 날로서 4월 5일이나 6일쯤이 되며, 민간에서는 조상의 산소를 찾아 제사를 지내고 사초(莎草)하는 등 묘를 돌아본다.
한식(寒食)[고령가곡여자들등님곡이라(고령가곡여들등님곡이라) 1 페이지 / 전적]
명절(名節)의 하나. 동지가 지난 뒤에 105일이 되는 날인데, 4월 5일이나 6일쯤 듦. 옛날 나라에서는 이 날에 종묘(宗廟)와 각 능원(陵園)에 제향(祭享)을, 사삿집에서는 조상(祖上)의 무덤에 제사(祭祀)를 지냈음.
한식(寒食)[비틀노래 2 페이지 / 두루마리]
우리나라 명절 중의 하나로 동지(冬至)에서 105일째 되는 날이다. 양력으로 4월 5일이나 6일쯤이 되며, 민간에서는 조상의 산소를 찾아 제사를 지내고 사초(莎草)하는 등 묘를 돌아보는 풍습이 있다.
한식(寒食)[허후전가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우리나라 명절의 하나로 동지에서 105일째 되는 날로서 4월 5일이나 6일쯤이 되며, 민간에서는 조상의 산소를 찾아 제사를 지내고 사초(莎草)하는 등 묘를 돌아본다.
한식(寒食)[조선국퇴정문수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동지(冬至) 후 105일째 되는 날.양력으로는 4월 5일, 일정 기간 불의 사용을 금하며 찬 음식을 먹는 고대 중국의 풍습에서 시작되었다.
한식(寒食)[지리산이수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명절의 하나 동지가 지난 뒤에 105일이 되는 날인데, 4월 5일이나 6일쯤 듦.
한식날[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27 페이지 / 전적]
「寒食」―節名임. 荊楚歲時紀에「冬至後 一白五日 謂之寒食 禁火三日」이라 하였음.
한식일(寒食日)[자탄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우리나라 명절의 하나. 동지에서 105일째 되는 날로서 4월 5일이나 6일쯤이 되며, 민간에서는 조상의 산소를 찾아 제사를 지내고 사초(莎草)하는 등 묘를 돌아봄.
한식절(寒食節)[고분가 9 페이지 / 전적]
우리나라 명절의 하나로 동지에서 105일째 되는 날로서 4월 5일이나 6일쯤이 되며, 민간에서는 조상의 산소를 찾아 제사를 지내고 사초(莎草)하는 등 묘를 돌아본다.
한식절(寒食節)[고분가 9 페이지 / 전적]
우리나라 명절의 하나로 동지에서 105일째 되는 날로서 4월 5일이나 6일쯤이 되며, 민간에서는 조상의 산소를 찾아 제사를 지내고 사초(莎草)하는 등 묘를 돌아본다.
한식절(寒食節))[남여동락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동지(冬至)에서 105일째 되는 날. 음력으로는 대개 2월이 되고 간혹 3월에 드는 수도 있음.
한식절(寒食節))[남여동락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동지(冬至)에서 105일째 되는 날. 음력으로는 대개 2월이 되고 간혹 3월에 드는 수도 있음.
한식[상사곡가사(상곡가사) 5 페이지 / 전적]
한식(寒食)에. 조상에 묘에 제사를 지내는 명절.
한신(韓信)[초한가(楚漢歌) 3 페이지 / 전적]
진(秦)나라 말 난세에 처음에는 초(楚)나라의 항량(項梁) ·항우(項羽)를 섬겼으나 중용되지 않아 한왕(漢王:고조(高祖) 유방(劉邦))의 군에 참가하였다. 승상 소하(蕭何)에게 인정을 받아 해하(垓下)의 싸움에 이르기까지 한군을 지휘하여 제국 여러 나라를 격파하고, 군사면에서 크게 공을 세움으로써 제왕(齊王)에 이어 초왕(楚王)이 되었다. 그러나 한제국(漢帝國)의 권력이 확립되자 유씨(劉氏) 외의 다른 제왕(諸王)과 함께 차차 밀려나, BC 201년 회음후(淮陰侯)로 격하되고, BC 196년 진희(陳豨)의 난에 통모(通謀)하였다 하여 여후(呂后)의 부하에게 참살당하였다. 불우하던 젊은 시절에 시비를 걸어오는 시정(市井) 무뢰배의 가랑이 밑을 태연히 기어나갔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한신(韓信)[종매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전한의 무장. 한 고조를 도와 위, 연, 제 등의 나라를 멸망시키고, 항우를 공격하여 큰 공을 세움.
한신(韓信)[초한가라 3 페이지 / 전적]
중국 전한시대의 무장. 한고조를 도와 항우를 침.
한신(韓信)[조심가라 25 페이지 / 전적]
중국 초한(楚漢)시대 때에 한나라의 공신(功臣)으로, 소하(蕭何)·장량(張良)과 더불어 유방(劉邦)을 도와 항우(項羽)를 멸하고 천하를 통일하여 한나라를 창업한 삼걸(三傑) 중의 하나. 그가 뜻을 펼치지 못하고 있을 때에 회음(淮陰)의 저잣거리에서 다른 사람의 사타구니 밑으로 기어나가는 수모를 당하기도 하였으나, B.C. 250년에 유방(劉邦)의 통일의 대업을 도와서 연(燕)·제(齊)·조(趙)나라를 차례로 멸망시키고, 회음후(淮陰侯)에 봉해졌음. 후에
한신(韓信)[조심가라 25 페이지 / 전적]
중국 초한(楚漢)시대 때에 한나라의 공신(功臣)으로, 소하(蕭何)·장량(張良)과 더불어 유방(劉邦)을 도와 항우(項羽)를 멸하고 천하를 통일하여 한나라를 창업한 삼걸(三傑) 중의 하나. 그가 뜻을 펼치지 못하고 있을 때에 회음(淮陰)의 저잣거리에서 다른 사람의 사타구니 밑으로 기어나가는 수모를 당하기도 하였으나, B.C. 250년에 유방(劉邦)의 통일의 대업을 도와서 연(燕)·제(齊)·조(趙)나라를 차례로 멸망시키고, 회음후(淮陰侯)에 봉해졌음. 후에
한신(韓信)[초당의 봄꿈 3 페이지 / 전적]
중국 전한의 무장(武將)(?B.C.~B.C.196). 한(漢) 고조를 도와 조(趙)ㆍ위(魏)ㆍ연(燕)ㆍ제(齊)나라를 멸망시키고 항우를 공격하여 큰 공을 세웠다. 한나라가 통일된 후 초왕에 봉하여졌으나, 여후에게 살해되었다.